이창용(사진) 한국은행 총재가 향후 기준금리 인하 여부를 정할 핵심 요인으로 국제유가를 꼽았다. 최근 1400원 선을 뚫기도 했던 원·달러 환율의 움직임에 대해서는 “과도하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18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국은 주요국 통화정책보다 유가가 어떻게 될지가 더 문제”라며 “(통화정책을) 독자적으로 결정하는 데 있어서 유가가 가장 큰 전제”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국은) 근원물가에 비해 농산물과 유가를 포함한 헤드라인 물가가 끈적하다”며 “유가가 배럴당 90달러 밑으로 있을지 더 오를지가 제일 문제”라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유가 상승이 다른 상품의 물가 오름세로 옮겨갈 수 있다고 봤다. 그는 “유가가 오를 경우 2차로 서비스나 다른 가격으로 전이될지 유심히 보고 있다”며 “전기요금은 당장 유가가 높아지면 전반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짚었다. 그는 전기요금 인상에 대해 “여러 취약 계층을 재정적으로 도움을 주는 일은 필요하다”면서도 “중장기적으로 전기요금이 정상화하는 쪽으로 갈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원화 가치 급락에 대해서는 “이스라엘과 이란 사이에 전쟁이 터진 뒤 며칠간의 환율 움직임은 어떠한 측정 방법으로도 과도했다”며 “(외환시장) 개입을 시사한 것도 그런 이유”라고 설명했다. 그는 “환율 수준이 펀더멘털(기초 체력)에서 벗어난 정도가 클수록 (시장) 개입의 효과가 높다”고 덧붙였다. 앞서 이 총재는 미 경제방송 CNBC와의 인터뷰 등을 통해 “환율 변동성이 계속될 경우 우리는 시장 안정화 조치에 나설 준비가 돼 있다”는 메시지를 거듭 내왔다.
금리 인하 여부를 언제 결정할지 묻는 질문에는 “1~2개월은 더 소비자물가가 어떻게 가는지 봐야 한다”며 “새로 바뀌는 한은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두 분의 의견도 봐야 한다”고 답했다. 최근 사과 같은 농산물 수입을 통한 물가 안정을 언급한 것을 두고는 “완전 개방하자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국민 공감대가 농산물이나 과일만큼은 국가 안보처럼 중요해 보호해야 한다고 하면 할 수 없지만 소비자도 한 축이니 수입 물량을 확보하고 공급 유연성을 갖출 때가 됐다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