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3월 국내 은행 대출 연체율이 소폭 하락했다. 매 분기가 끝나는 달 은행들이 연체 채권을 손실 처리하거나 매각하는 ‘분기 말 효과’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4조 원 넘게 부실채권을 상·매각하면서 연체율을 떨어뜨리기는 했지만 부실 확대 우려가 줄어든 것은 아니라는 지적이다.
1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3월 은행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43%로 전월 말(0.51%) 대비 0.08%포인트 낮아졌다. 은행 연체율은 2022년 6월 0.2%로 역대 최저 수준을 찍은 후 점차 상승하다 올 2월에는 0.51%까지 치솟으며 2019년 5월(0.51%) 이후 4년 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신규 연체율도 소폭 하락했다. 3월 신규 연체율은 전월 대비 0.02%포인트 하락한 0.11%로 집계됐다. 연체율이 하락한 것은 은행들이 올 3월 대규모의 부실채권을 손실 처리하거나 매각했기 때문이다. 실제 3월 말 연체 채권 정리 규모는 4조 2000억 원으로 전월(1조 3000억 원) 대비 2조 8000억 원이나 증가했다.
이 때문에 연체율 하락이 부실 확대 가능성이 줄어든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연체율이 하락했음에도 최근 5년간 매해 3월 연체율과 비교하면 올해 3월 연체율이 2019년 3월(0.46%)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와 함께 은행권 이외의 금융권의 연체율 상승세도 이어지고 있다.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체 53곳의 연체율은 8.4%로 전년보다 3.7%포인트 급등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연체율이 감소했으나 최근 대내외 불안 요인 등으로 인해 고금리·고물가·고환율 상황이 지속되면서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연체율이 상승할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며 “대내외 불확실성에 따른 신용 손실 확대 가능성에 대비해 충분한 손실 흡수 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유도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