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7월부터는 차량을 운전하면서 홍수 발생 위험 지역에 진입했을 경우 내비게이션을 통해 주의 안내를 들을 수 있다. 홍수주의보와 경보 발령 시 안내 문자에는 인근 침수 우려지역과 본인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담아 인명피해를 줄이도록 한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여름철 홍수대책’을 발표했다.
올해 7월부터는 홍수경보 발령지점 반경 1.5㎞ 이내나 댐 방류 지점 근처에 차량이 진입하면 내비게이션 음성을 통해 운전자에게 안내가 이뤄진다. 지하차도나 저지대 등 침수 위험이 있는 곳에 운전자가 진입하지 않도록 해 지난해 발생한 ‘오송 지하차도 참사’와 같은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홍수경보 발령지점과 댐 방류지점 안내는 티맵·카카오·네이버 등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과 현대자동차·아틀란·아이나비 등 차량용 내비게이션 대부분에서 서비스 받을 수 있다.
홍수주의보·경보 발령 시 알림 문자에는 ‘본인이 침수우려지역에 위치해 있는지’와 ‘인근 침수우려지역 지도’를 함께 제공한다. 기존에는 수위 정보만 문자를 통해 안내됐으나 침수 현황을 파악해 위험지역을 신속히 벗어나게 하기 위해서다.
홍수예보 지점도 그동안 대하천 중심 75곳에서 운영했으나 지류·지천을 포함한 223곳으로 확대 운영한다. 지난해 5월 서울 도림천에서 처음 실시한 도시침수 예보는 올해 광주 황룡강, 경북 포항시 냉천, 창원시 창원천에서도 이뤄진다.
홍수 상황 전파 방식도 개선한다. 기존에는 관계기관에 팩스와 문자로만 상황이 전파됐지만 올해부터는 보이스 메시지 시스템(VMS)과 재난안전통신망을 추가해 지방자치단체, 소방, 경찰 등 홍수 대응 기관에 홍수 상황을 일시 전파한다.
위험 상황 확인은 국가하천 전 구간(3602㎞)에 설치된 8000대의 폐쇄회로텔레비전(CCTV)을 활용해 확인한다. 지자체도 이 CCTV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해 대응력을 높인다.
한 장관은 “이번에는 위험상황 전달 체계를 다양화했다”며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에 가장 중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