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자율공시한 일본 기업이 이를 공시하지 않은 기업보다 주가 상승률이 높았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31일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금융산업실장은 여의도에서 열린 ‘일본 자본시장 개혁의 특징과 정책적 시사점’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연구원은 “2023년 3월 이후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한 일본 기업이 미공시 기업보다 1년 동안 10.5%의 초과 성과를 기록했다”며 “일본거래소의 기업가치 제고 계획 자율공시가 기업가치 제고로 이어졌다”고 평가했다.
자본연의 분석에 따르면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자율공시한 기업은 1년 동안 주가가 38.03% 올랐고 미이행 기업은 27.51% 오르는 데 그쳤다.
그는 이어 최근 10년간 일본 주가 상승률 상승 원인을 분석한 결과 배당 수익률이 높을수록, 자기자본이익률(ROE)와 주가매출비율(PSR) 증가폭이 클수록 유의미한 주가 상승률이 관찰됐다고 분석했다. 주주환원을 확대하고 수익성·성장성을 개선한 기업이 그에 발맞춰 주가가 올랐다는 의미다.
그는 “한국도 장기적이고 일관적으로 밸류업 지원방안을 추진하는 게 바람직하며 밸류업 성공을 위해 거버넌스 개혁, 연기금 참여 확대, 세제 개선, 스타트업 육성 및 좀비기업 퇴출 등 다양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쿠로누마 에츠로 일본 와세다대 법학부 교수가 일본 자본시장 개혁을 2014년부터 네 가지 시점으로 나눠 설명했다.
에츠로 교수는 2014년 일본판 스튜어드십 코드를 제정해 기관투자가가 기업의 가치 증진과 지속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원칙을 정립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듬해에는 주주권리 보장, 정보 공개, 이사회 책임 강화 등을 골자로 한 기업지배구조 코드를 제정했고 2018~2020년에는 도쿄증권거래소의 구조 개혁이 진행됐다. 마지막으로 2022년 4월부터 2023년 8월까지는 기업의 자본 비용 및 기업가치를 높이기 위한 경영방침을 수립하고 이를 공개하라고 권장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