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화재가 9년 만에 희망퇴직을 실시한다. 인사 적체를 해소해 젊은 조직으로 재편하고 ‘조직 슬림화’를 통해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최근 3~4년 급성장한 메리츠화재가 선제적 희망퇴직을 통한 인력 구조 개선에 나선 만큼 다른 보험사들로 확산될지 주목된다.
5일 업계에 따르면 메리츠화재는 이날 전 직원들에게 ‘2024년 특별퇴직 기준(안)’을 공지했다.
안내문에 따르면 희망퇴직 대상은 30세 이상의 일반 직군 및 사무 지원 직군 직원으로 사실상 전 직원 대상이다. 직급과 근속연수 등을 기준으로 최대 38개월 분의 특별퇴직금과 자녀학자금지원금(2000만 원), 전직지원금(2000만 원), 의료지원금(1000만 원)을 지급한다. 임금피크제 적용 직원이 특별퇴직을 신청할 경우 임피 미적용 직원과 조건에 정년까지 잔여 근무월수를 60개월로 나눈 값을 곱해 퇴직금으로 지급할 계획이다. 지난해 말 기준 메리츠화재의 직원 평균 연봉은 1억 3000만 원 정도로 최대 38개월의 특별퇴직금을 받을 경우 기본 퇴직금을 포함해 5억 원 정도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추산된다.
메리츠화재는 김용범 부회장이 대표로 취임한 직후인 2015년 대규모 희망퇴직을 실시했다. 당시 메리츠화재의 방만한 인력 운용이 도마 위에 올랐다. 김 부회장은 전 직원 대상 희망퇴직을 추진해 과감한 인력 구조조정을 실시했다. 메리츠화재는 이번 특별퇴직은 9년 전과는 목적이 다르다는 입장이다. 회사 관계자는 “기업 경영이 어려워 인적 구조조정을 위해 진행하는 희망퇴직이 아니다”라며 “그동안 이런 제도를 운용하지 않아서 노조와 직원들 내부에서부터 필요성이 제기돼 진행하게 됐다”고 말했다.
실제 메리츠화재는 지난해 당기순이익 1조 5748억 원을 기록해 역대 최대 실적을 거뒀다. 손보 업계 1위인 삼성화재(1조 8216억 원)와의 격차가 크게 줄었다. 성과에 따른 적정한 보상을 통해 효율성을 극대화했고 수익성 중심의 영업을 강화한 결과다. 메리츠화재 관계자는 “회사가 ‘잘나가고 있을 때’ 직원들에게 최대한의 보상을 제공해 새로운 선택을 할 수 있게 길을 열어줄 것”이라며 “빈자리를 새로운 우수 인재로 채워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것이 중장기적으로 회사 발전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보험 업계에서는 이번 메리츠화재의 희망퇴직 시행을 눈여겨보고 있다. 보험사는 은행과 달리 정기적으로 희망퇴직을 시행하지 않기 때문이다. 최근 희망퇴직을 실시한 보험사는 지난해 흥국화재와 현대해상 정도가 꼽힌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효율성을 중시하는 메리츠화재가 선제적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한다는 점에서 다른 보험사들도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며 “인력 이동 등 업계 내 변화도 활발하게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