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업계가 올 1분기에만 약 3000억 원 규모의 부실대출을 손실 처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 상황에서 연체가 급증하면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대출은 물론 가계와 개인사업자를 중심으로 회수가 아예 불가능하다고 보는 대출채권이 급증한 것이다.
서울경제신문이 10일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1분기 경영 공시를 전수조사한 결과 대손상각액 규모는 2948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분기 1149억 원어치의 부실채권을 털어냈던 것에 비해 상각 규모가 2.57배 늘었다. 대손상각이란 금융회사가 채권을 회수할 가능성이 없을 때 회계상 손실로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돌려받지 못할 돈으로 판단해 비용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같은 기간 전체 저축은행이 취급한 대출 규모도 112조 9264억 원에서 101조 3661억 원으로 11조 5603억 원(10.24%) 줄었다. 부실채권을 정리함과 동시에 대출을 보수적으로 취급하며 건전성 관리에 집중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업계에서는 올 상반기까지 2000억~3000억 원 규모의 대손상각이 더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부동산 PF 구조조정의 본격화로 부실채권의 추가 발생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또 7월부터는 금융위원회 감독 규정에 따라 제2금융권 차주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다중채무자에 대해 대손충당금을 최대 50%까지 더 쌓아야 한다. 김용진 서강대 경영학과 교수는 “원활한 부실채권(NPL) 매각을 위해 저축은행의 매각 채널을 NPL 투자 전문회사들에서 대부 업체 등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