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K-컬처 연수비자·외국인용 교통카드 도입…“2027년 관광수입 300억 달러”

관광 트렌드, 10~30대 중심·K-컬처 체험으로 변화

‘K-컬처 연수 비자’ 시범 운영…워케이션 비자도 검토

13일 외국인 관광객들이 경복궁을 관람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K-컬처 연수 비자와 지역 특화형 디지털 노마드(워케이션) 비자 등을 도입해 장기 체류 관광객 유치에 나선다. 이외에도 외국인 관광객들의 여행 편의를 개선하기 위해 국내 지도 앱의 사용자 후기를 영어와 중국어 등으로 번역해 제공할 방침이다.

기획재정부는 17일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관계부처 합동으로 이같은 내용이 담긴 ‘관광 수입 증대를 위한 외국인 방한 관광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관광 트렌드에 맞춰 제도를 개선해 방한 관광객 수와 관광 수입을 늘리겠다는 전략이다. 앞서 문화체육관광부는 2027년께 방한 관광객 3000만 명, 관광 수입 300억 달러(41조 4270억 원)달성을 목표로 제시한 바 있다. 기재부에 따르면 방한 관광객은 2019년 1750만 명이었으나 코로나19가 발발하면서 2021년 97만 명으로 급감했다. 이후 2023년에는 1103만 명으로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정부는 3000만 방한 관광객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팬데믹 이후 변화한 관광 트렌드에 맞춰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단체 여행보다 개별여행 비중이 늘어나고 쇼핑보다 역사유산이나 K-팝 등 문화 체험을 즐기는 경우가 많아져 관광객당 지출 성향은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평균 체류일수 역시 2018년 7.2일이었던 것이 올해(4월까지 평균) 6.5일로 감소한 것으 나타났다. 중장년층의 패키지 여행보다 K-콘텐츠를 접한 10대~30대의 방문이 늘어난 결과로 분석된다.



정부는 이들이 장기체류에 어려움을 겪고 교통안내·관광지 정보 습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판단하고 이를 해결하는데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우선 장기 체류 외국인을 유치하기 위해 비자 제도를 개선한다. 엔터테인먼트사 연수나 K팝·안무·모델 등 분야의 연수를 희망하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K-컬처 연수 비자'를 연내 시범 운영할 계획이다. 해외 원격 근무자가 한국에서 일하면서 지역 관광도 즐길 수 있도록 '지역특화형 디지털노마드(워케이션) 비자' 도입도 검토한다.

출입국 과정도 보다 편하게 진행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한다. 비자 심사 인력과 신청센터 등 인프라를 확충해 방한 관광객이 급증하고 있는 동남아 국가의 관광비자 발급 소요 기간을 대폭 단축할 예정이다. 현재 50명인 단체관광객의 전자여행허가제(K-ETA) 일괄 신청 범위를 확대하고, 여권 자동판독(OCR) 기능을 도입해 입력 정보도 간소화한다. 크루즈 관광객의 경우 무인 자동심사대를 설치한다.

정부는 교통 및 편의 서비스를 확충하고 관광 컨텐츠를 늘리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치맥(치킨+맥주), 즉석사진 촬영, 퍼스널컬러 진단 등 한국인의 일상을 즐기는 ‘K-라이프스타일’ 체험 프로그램을 확대하는 방식이다. 하나의 지구에 숙박·휴양·레저·쇼핑 등 시설을 한번에 설치할 수 있는 복합시설지구 유형도 새로 만든다. KTX 역사에서 호텔까지 짐을 배송해주는 서비스를 대전·동대구·광주송정 등 7개 역에서 추가로 제공한다.

또한 해외 신용카드로 모바일 앱에서 선불금을 충전할 수 있는 ‘외국인 전용 교통카드’를 입국 비행편에서 판매하고 국내 주요 도시에서 외국인 관광객이 쓸 수 있는 단기 대중교통 승차권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서울 기준 1일권 5000 원, 2일권 8000원, 3일권 1만 원, 5일권 1만 5000 원 등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