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도예리의 NFT]日 야마코시 마을, NFT로 저출산·고령화 해법 찾았다

인구 740명 작은 마을…지역 상징물 비단잉어 NFT 발행

NFT, 다오 거버넌스 토큰으로 활용…디지털 시민권 부여





일본에서 대체불가토큰(NFT)을 활용해 지방활성화를 도모하는 실험이 이뤄지고 있다. 지역 상징물 NFT를 팔아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고, NFT 보유자에게 디지털 시민권을 부여해 인구를 늘리는 식이다. 블록체인 기술이 저출산 고령화 시대의 새로운 해법이 될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린다.

3일 일본 컨설팅 기업 유리 그룹이 지난 달 낸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 야마코시 마을은 NFT와 웹3 기술을 활용해 흥미로운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인구가 740명인 야마코시 마을은 지역 상징인 비단잉어 품종 니시키고이(Nishikigoi) NFT를 발행했다. 지난 2021년 시작된 이 프로젝트는 약 42만 3000달러(약 5억 8775만 원)의 수익을 창출했다. NFT 발행 수익은 운동회 등 지역 행사에 사용됐다. 유리 그룹은 “이는 야마코시 마을 367가구 당 약 1252달러(약 173만 원)의 수익이 발생한 것과 같은 효과”라며 “적은 예산으로도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농촌 마을에서는 상당한 규모”라고 평가했다.

출처=유리 그룹 보고서(Digital Citizens Wanted, Japan village grows populationwith NFTs, Web3 tools)


NFT 보유자에게는 ‘피지털(physital)’ 시민권이 부여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니시키고이 NFT를 판매해 야마코시 인구에 디지털 주민 1700명을 추가했다. 이 숫자를 1만 명으로 늘리는 게 운영팀의 목표다. 디지털 주민에게는 야마코시 탈중앙화자율조직(DAO) 구성원으로서 지역 관련 이슈에 투표할 수 있는 권리가 주어진다. 니시키고이 NFT가 거버넌스 토큰으로 사용되는 셈이다. NFT를 기반으로 한 야마코시 다오는 디지털 주민에게 마을에 대한 친밀감을 형성하고자 구축됐다. 야마코시 주거민 입장에서서는 NFT 판매 수익으로 경제적 이득을 얻을 수 있고, 외부의 다양한 지식을 수혈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야마코시 거주민과 전세계에 흩어진 디지털 주민은 야마코시 지역을 본뜬 메타버스 ‘네오 야마코시 빌리지’에 모여 마을 생활에 관해 의견을 나눌 수 있다. 타케우치 하루카 네오 야마코시 빌리지 설립자는 “얼굴을 보이지 않고, 실명 대신 닉네임을 사용하기에 소통이 어려울 때가 있다”면서도 “물리적 제약을 받지 않고 미국에 있든 야마코시에 있든 동일한 문제를 함께 공유할 수 있다는 게 메타버스 장점”이라고 전했다.



출처=유리 그룹 보고서(Digital Citizens Wanted, Japan village grows populationwith NFTs, Web3 tools)


야마코시 다오는 이 방법으로 안건 6개를 투표에 부쳐 결론을 도출했다. 여기에는 야마코시 주거민의 투표권을 부여하기 위해 이들에게 니시키고이 NFT를 무료로 제공하는 안건도 포함됐다. 타케우치 설립자는 “평균 참여율은 약 40%에 불과하다”면서 “이는 일본 최근 총선거 투표율 56%와 대조하면 아직 낮은 수준”이라고 전했다. 그는 “앞으로 참여율이 60~80%로 개선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웹3 관련 용어가 여전히 생소하다는 점은 해결해야 할 문제다. 타케우치 설립자는 “고령층이 대부분인 야마코시 주민에게 기술의 이점을 설명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다오 투표 과정도 시연이 힘들었다”고 말했다. 인공지능(AI) 발달로 해외 디지털 주민 참여를 장려하는 데 걸림돌이 됐던 언어 장벽은 그나마 해소가 됐다.

유리그룹은 “야마코시 모델을 채택한다면 소멸 위기에 처한 일본의 744개 지자체가 약 3억 달러에서 5억 달러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고 추산했다. 이어 “저출산 국가로 알려진 일본은 이를 해결할 기회도 갖고 있다”면서 “웹3 기술이 유토피아적 이상처럼 보이지만 미래의 사회적·경제적 현실을 발전시키는 글로벌 합의로 부상할 수 있다”고 짚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