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흠 EY한영 ESG임팩트허브 파트너(전무)가 "환경·사회·지배구조(ESG)라는 말이 조심스럽게 사라지는 시대에 접어들 것이고, 그렇지 않다고 해도 우리 산업계가 준비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 전무는 12일 제주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4 한국경제인협회 CEO 제주하계포럼' 강연에서 “과거와 달리 제품이나 서비스가 친환경적으로 변화하고, 사회·환경 이슈를 기업 의사결정에 반영하는 시대가 오면 ESG라는 용어가 더 이상 새롭지 않고 아예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박 전무는 기업의 지속가능한 가치를 관통하는 핵심 요소로 △표준화(Standardization) △참여(Engagement) △진정성(Authenticity), 'S·E·A'를 강조했다.
박 전무는 미국, EU, 일본 등 주요국에서 환경, 사회, 지배구조 규제의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진행되는 공급망 재편과 관련해 "선진국 기업들이 자국 내 높은 환경사회 규제를 준수하면서 만들어진 제품과 서비스가 그렇지 않은 국가의 제품과 경쟁하는 것이 불공정하다는 기조가 축적되어 왔다"고 했다. 그는 "공급망 재편은 한국 경제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이라며 "향후 공급망 재편으로 인해 한국의 GDP(2022년 기준)는 1.8% 감소해 약 40조 원의 영향을 받는다"고 지적했다.
이에 한국 기업들이 많은 온실가스 배출량과 낮은 재생에너지 자급률의 리스크 관리를 서두르고, 공급망 내 노동 리스크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전무는 기업들의 ESG 공시가 현재는 자율적이지만 점차 의무화하는 상황에서 이해관계자들의 참여도 강조했다. 그는 "수많은 규범을 어떻게 지킬지 기업인들이 볼멘소리를 하지만, 산업적 특성을 바탕으로 자기 기업의 중요한 이슈를 찾아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또 정성적 측면이 강한 ESG 경영 성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쉽도록 일련의 체계를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아울러 박 전무는 "EY한영 조사 결과 ESG 요소 추진의 가장 큰 애로사항은 이사회의 의지, 다양성 및 전문성 부족"이라며 "말뿐인 전략 홍보에서는 진정성을 느낄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환경과 사회 관련 위험 및 기회에 대해 실제 기업 내 최고 의사결정기구의 책임과 역할을 정책에 명시해야 한다"며 "리더십과 C레벨뿐 아니라 조직 전반에도 인식이 확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