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단지 같은 전력수요 지역에 송전망 확충이 늦어지면서 차량용 도로와 철도 부지를 활용해 송전선로를 확대해야 한다는 제안에 힘이 실리고 있다. 기존 교통망을 활용해 별도의 부지를 확보할 필요가 없고 주민들의 반대를 뛰어넘을 수 있기 때문이다.
8일 안홍섭 한국건설안전학회장(군산대 건축학과 교수)의 ‘송전선로 건설의 패러다임 전환’ 보고서에 따르면 철탑 형태로 송전선로를 건설하는 방식은 낮은 사회적 수용성과 자연재해 등에 대한 우려로 한계에 직면해 있다.
이 때문에 대안으로 거론되는 방안이 철도와 도로를 활용하는 것이다. 철도는 철도안전법 45조에 따라 철도 좌우 30m가 철도보호지구로 지정돼 있다. 철도와 도로 좌·우측에 송전선로를 매설하면 된다는 게 안 회장의 생각이다. 그는 “철도나 도로 옆 인접 부지를 사용하면 추가 재원을 최대한 줄일 수 있고 주민 반대도 크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 역시 해당 방안에 동의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의 한 관계자는 “간선도로 등 교통 인프라망 건설에 맞춰 송전선로 매설도 고려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도로 건설 시점에 송전선로를 함께 매설하면 주민 동의를 추가로 얻지 않아도 돼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 경우에도 비용 문제는 여전히 풀어야 할 과제로 꼽힌다. 한국전력의 한 관계자는 “주민 수용성 문제는 줄일 수 있겠지만 지중화 작업에 따른 비용과 시간이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기존 송전망의 용량을 늘릴 필요가 있다는 분석 또한 나온다. 조환익 전 한전 사장은 현행 송전망의 용량을 늘려도 정전 가능성 같은 위험성이 크지 않다는 입장이다. 그는 인공지능(AI)·전기화 시대에 송전 용량을 늘렸을 때 정전 위험성이 얼마나 커지는지 기술적으로 따져보고 경제적·사회적 득실을 따져서 특정 시간에 한해 송전 용량을 늘리는 방법을 검토해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