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들이 이직과 중간 정산 과정에서 퇴직연금 자산의 상당분을 소진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미래에셋증권(006800)은 퇴직연금 제도 의무화 등을 통해 퇴직급여 수급권을 더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래에셋증권은 20일 ‘노후 자금인 나의 퇴직금은 다 어디로 갔나?’라는 주제로 ‘투자와연금리포트’ 보고서를 내고 퇴직연금에 대한 이 같은 진단을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이 50대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퇴직연금 축적 실태와 이직 경험, 중도인출 현황 등을 설문 조사한 결과 이직 경험자의 43.8%는 퇴직급여를 모두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예상 퇴직연금 자산은 9208만 원으로 퇴직급여를 연금 계좌에 이체한 응답자 평균 1억 8517만 원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또 퇴직연금에 가입하지 않은 사람의 예상 자산은 평균 9350만 원으로 가입자 평균인 1억 4016만 원의 67%에 그쳤다.
이와 함께 설문 대상자인 50대 직장인의 35.3%는 퇴직급여를 중간 정산하거나 중도 인출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이 중 44.2%는 퇴직연금 도입, 임금피크제 도입, 임원 승진 등 비자발적 이유로 퇴직급여를 중간 정산, 중도 인출했다.
미래에셋증권은 퇴직연금의 연금화 비율을 높이기 위해 퇴직연금 제도를 의무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퇴직금을 연금계좌에 이체할 때 적용하는 퇴직소득세 감면율을 높이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규성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선임연구원은 “퇴직연금 수령 비율을 높이기 위해 제도 도입을 확대해야 한다”며 “근로자의 인식도 개선해 이직과 중간정산으로 수령하는 퇴직급여를 개인형 퇴직연금 계좌(IRP)에 이체하도록 장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