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양도성예금증서(CD)금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한국무위험지표금리(KOFR·코파)'로의 전환을 촉구했다. 현재 한은과 금융당국이 대출금리의 지표인 CD금리를 코파로 대체하기 위한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는데 계획대로라면 금융 시장의 신뢰가 커지고, 금융소비자의 편익도 늘어날 것이란 입장이다.
이 총재는 28일 한은과 자본시장연구원이 공동 개최한 ‘코파 활성화를 위한 주요과제 및 향후 추진방향’ 컨퍼런스에서 개회사를 통해 “금번 컨퍼런스는 주요국과 달리 코파 전환 속도가 매우 더뎌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총재는 잭 웰치 전 제너럴일렉트릭(GE) 최고경영자(CEO)의 '변화를 피할 수 없을 때가 오기 전에 미리 변화를 준비하라’는 조언을 인용하며 “글로벌 스탠다드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 우리 앞에 놓인 변화를 능동적으로 받아들이고 헤쳐나가려는 용기와 지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코파는 국채·통안증권을 담보로 하는 익일물 환매조건부채권(RP)금리를 사용해 산출한 우리나라의 무위험지표금리(RFR)다. 실거래에 기반해 산출하기 때문에 조작 가능성이 없고, 기준금리와 거의 같은 수준을 유지한다는 특징이 있다. 코파에 가산금리를 더하는 방식으로 각종 금융상품을 만들수 있다.
국제 파생거래에서 쓰이던 리보(LIBOR)가 2012년 호가 담합 사건을 계기로 지표 금리로서의 역할을 잃자 세계 주요국은 RFR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한은과 금융위원회도 2021년 코파를 개발했지만 한국은 이미 CD금리 의존도가 높은 상황이었다.
한은은 CD금리가 가진 한계 때문이라도 코파로의 전환을 가속화해야한다는 입장이다. CD금리는 금리 하락기 다른 시장금리 하락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경직성을 보이는 반면 시장 불안이 커지면 신용위험이 부각되며 과도하게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한은에 따르면 코파를 만든 2021년 이후 기준금리와 코파와의 차이는 평균 0.009%포인트였다. 반면 CD금리는 0.281%포인트에 이르렀다.
한은과 금융위는 지난해 6월 협의회를 구성하고 CD에서 코파로의 지표금리 전환을 추진해왔고, 올해 들어서는 유관기관·시장참가자도 참여하는 민·관 워킹(실무)그룹도 출범시켰다.
한은과 금융당국은 △코파 확산을 위한 기술적 기반 조성 △ 기간별 코파 활용 목표치 제시·코파 점유율 확대 △CD금리 중요지표 해제 등 '지표금리 전환 3단계 계획’을 추진한다.
이 과정에서 한은·금융당국은 이자율 스와프 시장에서 신규 거래 시 일정 비율 이상 코파와 OIS(overnight index swap rate·초단기 금리) 거래가 이뤄지도록 행정지도하고, 한은 공개시장운영(OMO) 대상 기관 선정 단계에서도 코파 거래 실적을 반영할 방침이다.
한은은 코파가 자리 잡게 될 경우 금융소비자의 이자 부담이 낮아질 거라고 보고 있다. 또 기준금리와 밀접하게 연관돼 움직일 수 있어 통화정책 파급 경로가 더 원활히 작용할 수 있다고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대출을 취급하는 은행의 경우 출시한 대출 상품 간 가산금리를 직접 비교할 수 있게 돼 은행 간 경쟁 촉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 관련 대출 상품이 출시될 경우 코픽스(COFIX)나 은행채 등 다른 금리 연계 대출 상품과의 비교를 통해 본인에게 유리한 금리를 가늠해 보기도 쉬워져 차주의 금리 선택권이 다양해질 수 있다.
공대희 한은 금융시장국 공개시장부장은 "기준금리 인하에도 경직적인 CD금리는 잘 내려가지 않아 이를 지표로 삼는 대출 금리가 쉽게 낮아지지 않지만, 코파는 빠르게 연동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코파 금리는 기준금리와 거의 일치하기 때문에 향후 금리를 인하할 경우 즉각적으로 이자 부담을 낮추는 쪽으로 반영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