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기아, 수출·현지화로 中판매 67% 급증…현대차는 美서 月 16만대 '역대 세번째'

[글로벌 車 산업 지각변동]

◆ 美中서 질주하는 현대차·기아

기아 7월까지 누적 13만대 팔아

중국법인 8년만에 분기흑자 전환

현대차, 제네시스 등 美시장 선전

부진했던 中선 EREV로 반격 채비

기아가 중국 현지에서 생산하는 준중형 전동화 SUV ‘더 기아 EV5’. 사진 제공=기아






폭스바겐 등 전통의 자동차 강자들이 중국발 태풍에 휘청이는 것과는 달리 현대차·기아의 질주는 매섭다. 기아는 중국 옌청공장을 신흥시장을 향한 전진기지로 낙점해 수출량을 끌어올리고 있고 현대차는 친환경차와 제네시스를 앞세워 미국에서 선전하고 있다. 2년 전 처음으로 글로벌 판매량 3위에 오른 현대차그룹이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5일 기아 기업공개(IR) 자료에 따르면 기아의 중국법인인 ‘기아기차유한공사(KCN)’는 올해 7월까지 누적 13만 1730대를 중국 내수와 수출을 통해 판매했다. 지난해 동기 대비 66.5% 늘어난 실적이다. 올해에는 2022년 12만 6865대, 2023년 16만 6226대를 뛰어넘는 성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동차 업계의 한 관계자는 “중국 정부의 보호주의 정책과 로컬 기업들의 성장세, 중국인의 애국소비 등으로 부진을 면하지 못했던 기아가 지난해부터 좋은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면서 “중국 시장을 무조건적으로 돌파하기보다는 이용할 수 있는 자원을 충분히 활용하는 전략으로 변화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기아 중국법인이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배경에는 기아의 유일한 중국 공장인 옌청공장의 변신이 자리하고 있다. 기아는 지난해 말 옌청공장을 ‘수출 전진기지’로 전환했다. 판매가 부진한 중국 내수용 차량 대신 신흥시장을 위한 수출용 물량을 늘려 공장 가동률을 끌어올리는 전략이다. 실제 중국승용차연석회의에 따르면 올해 1~7월 기준 전체 판매량의 32.9%인 4만 4574대가 중국 현지에서 판매됐다. 67%가 넘는 차량이 신흥국으로 수출되며 실적을 이끌었다는 얘기다. 기아 중국법인은 기존 수출국 50여 개국에 더해 최근 중동과 중남미까지 대상을 확대하며 총 76개국으로 수출하고 있다.



중국 시장을 겨냥한 기아의 현지화 전략도 실적 상승에 한몫했다. 올해 기아 중국법인이 판매한 ‘베스트셀링카’는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KX3다. 국내에서는 셀토스로 알려진 차량으로 이름을 바꾸는 것뿐 아니라 외관과 성능을 중국 시장에 맞춰 조율하는 등 철저히 현지화하며 올해 7월까지 중국 내외로 3만 727대가 판매됐다. 지난해 출시된 전기차 EV5도 기아 중국법인의 핵심 차종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를 탑재한 차량으로 같은 기간 5994대가 팔렸다.

호실적이 이어짐에 따라 올해 2분기 기아 중국법인은 8년 만에 흑자를 기록했다. 기아의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기아 중국법인은 올해 2분기 약 44억 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분기 기준 기아 중국법인의 마지막 흑자는 2019년 2분기(영업이익 158억 원)다. 2017년 사드 배치 보복 사태 이후 급격히 줄어든 판매량이 최근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셈이다. 당시 보복 사태의 영향으로 기아는 옌청공장의 1공장 문을 닫고 2~3공장만 운영하고 있다.

현대차는 상대적으로 중국에서 성적이 부진한데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EREV)’ 출시를 예고하며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EREV의 중국 내 연간 목표 판매량은 3만 대다.

현대차그룹의 미국 판매는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현대차·기아는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 올해 8월 16만 1881대를 팔았는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7%가 늘었다. 특히 월간 판매량이 16만 대를 돌파한 것은 2021년 5월, 지난해 8월에 이어 세 번째다. 업체별로 보면 현대차가 21.2% 급증한 8만 6664대, 기아가 4.3% 증가한 7만 5217대를 판매했다.

현대차·기아 실적은 친환경차가 주도했다. 두 회사의 친환경차 판매량은 3만 2938대다. 하이브리드차 판매는 28.3% 증가한 2만 1305대로 월간 최다를 기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