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센터의 지방 분산과 관련해 전력 계통 영향 평가, 지역 차등 요금제 등의 정책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전력 부문뿐 아니라 통신·인력 등 비전력 인프라 확충도 병행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국전력 경영연구원은 18일 “데이터센터 전용 통신 회선 등 인프라 보강과 더불어 필수 인력의 정주 여건 개선을 지원하는 중국과 일본 국가 클러스터 사례를 벤치마킹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데이터센터는 정보기술(IT) 업체의 서버 등을 통합 관리하는 시설로 전기 소비량이 1㎡당 1000kWh(킬로와트시)에 달한다. 국내 데이터센터의 전기 소비량은 2021년 7.9TWh(테라와트시·총전력 수요의 1.5%)에서 2030년 19.4TWh(총전력 수요의 3.0%)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문제는 현재 국내 데이터센터 중 약 60%(88곳)가 수도권에 자리하고 있는 데다 전기 사용 예정을 통지한 데이터센터도 약 72%(899곳)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는 점이다. 데이터센터의 수도권 집중은 송전선로 증설, 변전소 보강 등을 초래해 가뜩이나 포화 상태인 수도권 전력망에 부담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등은 데이터센터의 수도권 집중을 완화하고자 여러 대책을 내놓았지만 실효성은 크지 않다는 평가다. 한전 경영연구원은 “전력 계통 영향 평가가 수도권 내 데이터센터 입지를 제한할 수 있지만 지방 분산을 유인하는 효과는 미미할 것”이라며 “지역 차등 요금제 역시 지역별 요금의 차등 수준에 따라 데이터센터의 지방 유인 영향이 결정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비전력 부문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전 경영연구원은 “데이터센터의 지방 분산을 위해서는 전력 부문뿐 아니라 인프라·인구 등 비전력 부문의 지원 방안이 필수적”이라며 “국가 관점에서의 통합 정책 추진을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