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한국의 지역경제가 전분기보다 소폭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지역경제보고서에 따르면 3분기 제조업 생산은 고성능 반도체를 중심으로 증가했으나 자동차 생산 차질로 보합세를 보였다.
서비스업 생산은 주택 거래량이 늘어나고 화물 물동량이 증가하면서 전분기 대비 소폭 증가했다.
민간소비와 설비투자도 전분기와 비교해 각각 늘었다. 이때 설비투자는 반도체와 자동차가 각각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요 대응 및 전동화를 위해 투자를 늘린 영향이 컸다. 다만 건설투자는 아파트 입주물량 축소, 누적된 착공실적 부진 등의 영향으로 소폭 줄었다.
수출(일평균)은 반도체, 디스플레이가 소폭 증가했으나 자동차가 줄어들면서 전체적으로는 소폭 줄었다.
향후 지역경제는 제조업, 서비스업 생산 모두 늘며 3분기에 비해 소폭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민간소비와 설비투자도 소폭 늘겠지만 건설투자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구조조정 불확실성이 이어진 데다 신규 착공 위축으로 소폭 줄어들 전망이다.
한은은 “향후에는 IT부문(반도체, 디스플레이 등)이 증가세를 이어가고, 자동차가 반등할 것”이라며 “민간소비는 물가상승률 둔화에 따른 가계 실질구매력이 개선되며, 설비투자는 기업실적 개선에 따라 반도체, 자동차를 중심으로 소폭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수출도 자동차가 개선되면서 전분기보다 늘어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한은은 외국인 근로자 유입으로 노동 공급이 1% 증가했을 때 해당 지역 내국인의 고용 및 임금에 미친 효과를 추정했다. 그 결과 외국인 근로자 유입으로 인한 긍정적, 부정적 효과가 혼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청년층과 경기도, 충청도 등 고성장 지역에서 고용 증가가 두드러졌고, 중장년층의 고용은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의 경우 외국인 근로자 유입이 단기적으로나 장기적으로 해당 지역 내국인 전체의 임금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지역별 장기적 영향을 보면, 고성장 지역에서는 내국인 임금이 증가했으나, 저성장 지역에서는 낮아지는 등 효과가 엇갈렸다.
이 중 고성장 지역 내국인은 외국인 근로자가 유입되면 조금 더 특화된 직무로 전환할 기회가 많아져 임금도 오른 것이라고 추정됐다.
한은은 “외국인 근로자 유입을 통해 지식 파급효과가 큰 고숙련·전문직에서도 보완관계를 기대할 수 있다”면서 “외국인과 경쟁관계에 있는 내국인 노동자들도 특화된 업무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교육 지원, 직무 재배치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