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내수 부진에 따른 경기 둔화를 이유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다. 다만 가계부채와 집값 상승에 대한 우려가 여전하고 중동 지역 리스크가 남아 있어 향후 금리 인하 속도는 더딜 것으로 예상된다.
한은은 11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연 3.5%인 기준금리를 3.25%로 0.25%포인트 내린다고 밝혔다. 2021년 8월 기준금리를 0.5%에서 0.75%로 올리면서 시작된 금리 인상 기조가 38개월 만에 끝난 것이다. 금리 인하로만 보면 2020년 5월 이후 4년 5개월 만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물가 상승률이 안정세를 보이는 가운데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하기 시작했으며 외환시장 위험도 다소 완화돼 금리 인하가 바람직하다”며 “실질금리가 높아 내수가 회복돼도 잠재성장률보다 낮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6%로 낮아져 한은의 목표치(2%)를 하회했다. 반면 내수는 부진하다. 소매판매액지수는 2022년 2분기 이후 9개 분기 연속 감소세다. 올해 2분기의 경우 설비투자(-1.2%)와 건설투자(-1.7%) 모두 전기 대비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금리 인하의 가장 큰 걸림돌이었던 가계부채와 부동산 가격 상승세도 주춤해졌다.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은 5조 7000억 원 증가해 전달(9조 3000억 원)에 비해 38.7% 감소했다. 서울 주간 아파트 값 상승률도 0.1% 수준으로 떨어졌다.
시장에서는 올해 추가 금리 인하가 없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이 총재를 제외한 6명의 금통위원 중 5명이 3개월 뒤 적정 금리로 3.25%를 제시했다. 이날 금리 인하 결정도 장용성 위원이 동결 의사를 밝혀 만장일치로 이뤄지지 않았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서울과 수도권에 집을 사려는 수요가 상당해 가계대출 증가와 서울의 부동산 가격 상승 압력이 남아 있다”며 “연내 추가 금리 인하는 없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