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인력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희망퇴직 보상금을 파격적으로 인상했다.
기존 최대 3억3000만 원에서 4억3000만 원으로 1억원 상향된 금액이다. 이는 퇴직금과는 별도로 지급되는 보상금으로, 업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KT는 현재 통신 네트워크 운용·관리를 담당할 자회사 2곳을 신설 예정인데 이에 따라 본사 인력 5700여 명을 재배치할 계획이다. 전출을 원하지 않는 직원들에게는 희망퇴직의 기회를 제공한다.
KT 관계자는 "이번 인력 구조 혁신은 유연하고 신속한 업무 환경 조성이 목표"라며 "직원들에게 다양한 선택권을 부여하고, 합리적인 처우와 보상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 같은 움직임은 국내 대기업들의 인사 적체 해소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보인다. 인위적인 구조조정이 어려운 상황에서 파격적인 보상금으로 고령 사원의 자발적 퇴직을 유도하고 있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40대 차장이 막내인 부서도 있으며, KT의 경우 50대 과장급 인력이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SK텔레콤 역시 만 50세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기존 5000만원이던 퇴직위로금을 최대 3억원까지 인상했다. SK텔레콤 측은 "퇴직 직원에 대한 적극적 지원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동시에 20~30대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신입 사원 채용을 통해 세대교체를 가속화하고 있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의 조사에 따르면, IT 기업들의 고령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20대 직원 비율은 2021년 34.2%에서 2023년 28.9%로 하락한 반면, 50세 이상은 16.6%에서 19.8%로 증가했다. 삼성전자의 경우 지난해 처음으로 40대 이상 직원 수가 20대 직원 수를 초과했으며, 직원 3명 중 1명이 간부급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연차 직원 증가로 신입 채용 규모도 축소되는 추세다. 100세 시대를 맞아 고령 직원들의 근속 욕구가 높아지면서 기업들은 파격적인 위로금으로 대응하고 있다. 예상보다 희망자가 적자 위로금 금액도 상승하는 양상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