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반도체 업계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으로 반도체지원법 축소 가능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동시에 대중국 제재 강화로 반사이익을 기대하는 시각도 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000660)를 비롯한 국내 반도체 업계가 트럼프의 재집권으로 향후 반도체 보조금 정책에 변화가 있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2026년 가동을 목표로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에 170억 달러(약 23조 5000억 원)를 투자해 반도체 공장을 짓고 있다. 2030년까지 총 45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조 바이든 정부는 삼성전자에 보조금 총 64억 달러를 지급하기로 약속했다.
SK하이닉스 역시 인디애나주 웨스트라피엣에 인공지능(AI) 메모리용 어드밴스드 패키징 생산기지를 건설하는 데 38억 7000만 달러(약 5조 2000억 원)를 투자한다. 8월에는 미 상무부와 최대 4억 5000만 달러의 연방 보조금 지급과 관련한 예비거래각서(PMT)도 체결했다. 아직 PMT 단계로 보조금 지급은 이뤄지지 않은 상태로 알려졌다.
업계는 트럼프가 선거 유세 당시 반도체 보조금을 축소할 수 있다는 발언에 주목하고 있다. 트럼프는 반도체법과 관련해 “그 반도체 거래는 정말 나쁘다”며 반도체에 대한 관세 부과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물론 큰 폭의 변화를 주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반도체법이 트럼프 1기부터 추진된 데다 초당적으로 통과된 법안인 점을 감안하면 트럼프 2기에서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이유에서다.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전무는 “보조금을 안 줄 수는 없고 관세는 자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어서 큰 의미가 없어 별다른 변화가 없을 것”이라며 “기술 경쟁력을 높이면 우리 기업이 피해를 볼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중 반도체 수출 통제 기조는 트럼프 2기 정부에서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우리 기업이 메모리반도체 등의 분야에서 중국 기업의 추격을 따돌리는 시간을 버는 등 반사이익을 얻을 것이라고 기대하는 이유다. 삼정KPMG경제연구원은 “한국은 미국이 메모리반도체를 수입하는 3대 국가 중 하나로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전후방 산업 전반에 대한 규제가 심화함에 따라 일부 반사이익을 기대해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