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자산관리공사 사장으로 여러 사람들을 만나면서 ‘캠코는 무엇을 하는 회사인가요’라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 공사가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보니 일반 대중의 관점에서 부실채권 인수·정리 등과 같은 캠코의 업무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이 당연하다. 이럴 때 가장 손쉬운 공사 소개 방법은 바로 ‘온비드(onbid)를 운영하는 회사’이다. 캠코라는 공사의 이름보다 온비드가 일반 대중들에게는 더 잘 알려져 있을 정도로 온비드는 공사를 대표하는 업무 중 하나다.
온비드는 2002년에 오픈한 온라인 공공자산 처분 시스템이다. 지금 보면 온라인을 통한 자산 처분이 너무나 당연한 것으로 보이겠지만 온비드 이전의 공매는 법원 경매처럼 현장에서 입찰 서류 등을 받아 진행하는 방식이었다. 당시에는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는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온라인으로 처리하자는 아이디어는 매우 혁신적이었다. 2002년도 휴대폰에 처음으로 카메라 기능이 탑재됐고 보안카드를 활용하는 인터넷뱅킹이 2003년부터 도입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온비드 등장이 당시 얼마나 파격적이었는지 미뤄 짐작할 수 있다.
현재 온비드에서는 캠코가 관리 중인 물건뿐만 아니라 국가기관·지방자치단체·공기업 등 모든 공공기관의 자산들이 공개경쟁 입찰 방식으로 투명하고 공정하게 거래되고 있다. 올해 10월 기준으로 온비드 누적 거래 금액은 111조 원, 거래 건수는 57만 건을 돌파했다. 연간 방문자 수는 1900만 명에 이른다. 온비드는 ‘공공자산과 국민에게 미래 가치를 더하는 공매 플랫폼’으로 확실하게 자리매김한 것이다.
이제 온비드는 새로운 정보통신기술 등장에 맞춰 신기술 기반의 미래형 플랫폼으로 또 한 번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빅데이터와 딥러닝 등에 기반한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은 더 이상 먼 미래의 일이 아니라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현실로 이러한 변화에 대한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IT 관련 전문용어가 등장하다 보니 매우 거창한 것을 준비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의도하는 목표는 적은 인력으로도 효율적으로 사용자들에게 필요한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지능형 상담 챗봇으로 고객 서비스를 향상시키고 지능형 통합 검색 고도화로 필요한 정보를 손쉽게 제공하는 한편 이용기관의 물건 등록을 좀 더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차세대 온비드에 요구되는 또 다른 과제는 범정부 공공 데이터 정책 및 민간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온비드의 데이터를 국민들이 원하는 방식으로 공개하고 제공할 수 있는 오픈 API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캠코의 온비드가 아닌 국민 모두를 위한 온비드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물론 올해 11월에 이제 막 차세대 온비드 시스템 구축 용역에 착수한 상태로 실제 이러한 계획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방향성이 바뀔 수도 있다. 하지만 예정대로 사업이 진행된다면 2026년 2분기에는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된 온비드를 국민 여러분이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20여년 전 온비드가 등장해 공공자산 처분 방식의 패러다임을 바꾼 것처럼 차세대 온비드 시스템이 국민이 원하는 방식으로 통합적·선제적·맞춤형으로 공공 서비스를 혁신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다시 한 번 기대해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