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PwC가 대만 등 다른 주요국은 정부가 자국 반도체 산업을 전폭적으로 지원한다며 한국도 관련 정책 역량을 키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삼일PwC는 29일 한국과 대만의 반도체 산업을 비교 분석한 ‘K-반도체 레벨업 방안’ 보고서를 발간하고 이 같이 밝혔다. 이 보고서는 한국과 반도체 산업 역사가 유사한 대만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국내 산업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작성됐다.
보고서를 기획한 정재국 삼일PwC 기술·미디어·통신(TMT) 산업 리더(파트너)는 “미국, 네덜란드, 일본 등 반도체 경쟁국은 모두 정부의 강력한 지원으로 반도체 산업 역량을 키우기 위한 혁신을 지속하고 있다”며 “한국 정부도 국내 반도체 제조 기반과 생태계를 강화하는 데 정책 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보고서는 특히 한국이 메모리 반도체 분야의 경쟁력을 살리면서 팹리스(반도체 설계), 외주 반도체 패키징 테스트(OSAT) 등도 함께 발전시켜야 한다고 제안했다. 메모리 반도체의 초격차 유지를 위한 전략으로는 △반도체 지원책의 조속하고 체계적 추진 △소재·장비·패키징 등 중소 업체에 대한 대대적 지원 △기술 개발 지원, 외국 기업 투자 유치 모색 등을 제시했다.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 등의 경쟁력을 제고할 방안으로는 △인공지능(AI) 확산에 따른 반도체 설계 기술 중요성 부각 △팹리스 수요 기업 육성 및 지역 거점 유치 △분야별 전문 인력 확보 △조사 기관, 컨설팅 업체 등 반도체산업 전문 정보 서비스업 육성 등을 꼽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과 대만은 모두 1980년대 웨이퍼 가공을 시작하며 반도체 산업을 발전시켰다. 이 가운데 세계 점유율 2위(19%) 반도체 강국인 한국은 메모리 생산에 집중된 구조로 성장했다. 삼성전자(005930)와 SK하이닉스(000660) 등 종합반도체기업(IDM) 중심의 효율적 생산을 강점으로 갖고 있다. 설계, 후공정, 장비, 소재 등에 대한 대외 의존도가 높아 생태계가 전반적으로 취약하다는 점은 단점이다. 이 때문에 이익 변동성이 크고 글로벌 공급망 재편 시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다.
대만의 경우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뿐 아니라 팹리스와 후공정도 함께 육성한 점이 특징이다. 반도체 생산 전 단계에 여러 기업이 포진해 가치사슬이 균형적이고 이익 주기의 변동성도 낮은 편이다. 한국의 반도체 산업이 대기업 중심의 민간 주도로 발전한 것과 달리 대만은 정부가 전면에 나서서 지원했다. 1973년 설립된 대만공업기술연구원은 세계 최대의 국책기술연구소로 TSMC와 UMC가 모두 이곳에서 분사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