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이 내년 경영 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정치·물가·환율 3대 요소 안정 외에도 내수 진작과 투자 활성화 정책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의 투자를 가로막는 각종 규제를 혁파하고 위축된 내수를 살려 위기를 돌파해야 한다는 얘기다.
29일 서울경제신문이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국내 500대 기업(101곳 응답)의 기획·재무 임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신년 경영 설문 조사에서 기업들은 ‘내년도 한국 경제 및 기업 경영 환경 개선을 위해 필요한 주요 변수’로 정치 안정(24.5%)과 물가 안정(21.5%)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어 투자 활성화 정책 추진(9.4%)과 민간 소비 개선(8.6%), 수출 환경 개선(7.7%), 규제 개선(5.2%) 등의 순이었다. 대외적 변수의 영향이 큰 정치·물가·환율 3대 요소를 제외하면 정부의 우선 정책 순위로 투자와 소비 분야를 선택한 것이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의 경우 정치 안정(24.2%) 응답 비중이 가장 높았고 도매 및 소매업에서는 물가 안정(42.9%)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건설업의 경우 투자 활성화 정책 추진 응답 비율이 15.8%로 다른 업종 대비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대내외 경제 여건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기업들은 내년 투자 계획을 축소하거나 미루고 있다. 침체된 내수도 회복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가 26일 발표한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 대상 종합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조사에 따르면 내년 1월 BSI 전망치가 84.6을 기록했다. 이는 전월(97.3) 대비 12.7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코로나19가 한창 확산 중이던 2020년 4월(25.1포인트 하락) 이후 4년 9개월 만에 최대 낙폭이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실장은 “수출 경기 활력이 크게 약화하고 있어 내년 우리 경제는 잠재성장률보다 낮은 1.7%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기업의 ‘성장’과 ‘안정’에 대한 전략적 비중 도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