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부산 가덕도신공항 등 새로 건립하는 공항에 조류 충돌(버드스트라이크) 위험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자 ‘뒷북 조치’에 나선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된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3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진행한 ‘무안 여객기 사고 관련 브리핑’에서 “신공항 사업에 대해서는 조류 충돌 문제를 꼼꼼하게 살펴보고 전문가와 함께 보완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전남 무안국제공항이 철새 도래지 인근에 자리해 조류 충돌 위험이 컸다는 지적이 나오자 신공항 사업에 이를 보완하겠다는 뜻을 밝힌 셈이다. 국토부는 무안공항에 대해서는 “전략환경영향평가상 조류 충돌 위험 등이 규정에 맞게 평가됐다”는 입장이다.
국토부가 신규 건립 추진 중인 공항은 가덕도신공항,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제주 제2공항, 새만금공항, 서산공항, 백령 공항, 울릉공항, 흑산공항 등 8곳에 달한다. 이들 가운데 상당수 지역에서 조류 출몰 위험성이 큰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가덕도신공항과 새만금공항 등은 철새 이동 경로에 위치해 있고 울릉공항·흑산공항 등은 섬의 특성상 조류가 출몰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정부는 향후 전략환경영향평가에서 조류 충돌 위험 여부를 더욱 강화하겠다는 입장이지만 공항 입지를 고려할 때 원천적인 예방이 쉽지 않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한 환경단체 관계자는 “새만금공항 예정지 인근에는 금강 하구둑이 자리하고 있는데 철새가 공항 쪽으로 이동할 위험성이 크다”며 “가덕도 역시 낙동강 하구와 지리적으로 인접한 만큼 항공기가 조류와 충돌할 위험성에서 벗어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전략환경영향평가를 통과하더라도 이들 신공항에 조류 퇴치 인력을 상시 배치해야 하는 등 운영상 어려움도 적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무안공항의 조류 충돌 예방 전담 인원은 4명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포항경주공항·원주공항·양양국제공항 등도 조류 퇴치 담당 인력은 2~3명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함승희 서울시립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조류 충돌은 중점적으로 투자가 필요해 장기적으로 인력과 장비 투입이 확대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국토부는 전날 사고기에서 회수한 비행자료기록장치(FDR)와 조종실 음성기록장치(CVR) 등 블랙박스 2종을 이날 김포공항 시험분석센터로 이송해 분석 가능 여부를 확인 중이다. 블랙박스 2종 가운데 1종은 외관이 손상돼 데이터 추출 가능 여부 등은 별도 분석이 필요한 상황이다. 국토부는 또 제주항공 여객기의 비상 착륙과 관련해 ‘배리어(그물망)’와 동체착륙용 특수 거품을 사용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배리어는 민항기에 사용하지 않으며 특수 거품은 규정에 없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