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주로 끝에 설치된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의 기반을 콘크리트로 조성한 탓에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피해가 커졌다는 지적이 제기되자 국토교통부가 특별 점검에 나섰다. 사고기에서 수습한 블랙박스 중 하나인 조종실음성기록장치(CVR)의 자료는 음성 변환 작업을 마치고 사고 조사에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종완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은 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전국 공항을 대상으로 활주로 주변 항행안전시설의 설치 높이 및 위치에 대한 특별 점검을 실시하고 있다”며 “항행안전시설에 대한 점검은 오늘부터 8일까지”라고 밝혔다. 활주로 너머 콘크리트 구조물이 설치돼있지 않았다면 승무원 2명을 제외하고 탑승객 전원이 사망하는 참사로 이어지지 않았을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이어지자 실태 조사에 착수한 것이다. 항행안전시설은 문제가 된 방위각 시설을 포함해 활주로 주변에서 항공기의 이착륙을 보조하는 장치 일체를 의미한다.
앞서 국토부는 여수공항과 포항경주공항의 방위각 시설도 무안공항과 같이 흙으로 덮힌 콘크리트 구조물 위에 설치돼있다고 설명했다. 제주공항 방위각 시설도 H빔 철골 구조물 위에 설치된 것으로 알려졌다. 전국 공항 곳곳이 무안공항과 같은 사고 위험에 노출돼있다는 의미다.
방위각 시설은 항공기의 정밀한 착륙을 유도하기 위한 전파 설비로 활주로 지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해야해 활주로 경사도에 따라 고도를 높이는 시공을 한다. 국내외 규정에 방위각 시설은 ‘잘 부러지는 재질’로 만들어야 한다고 규정돼있는데 지지대에 대한 명확한 규정은 없어 철골이나 콘크리트 같은 자재가 사용됐다. 주 실장에 따르면 무안공항의 방위각 시설이 설치된 둔덕 내부에는 10개의 콘크리트 기둥이 매설돼있었다.
사고 원인 규명의 실마리가 될 블랙박스 2종 중 CVR 장치의 자료는 음성 변환 절차까지 마친 것으로 확인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CVR의 저장 용량은 사고 직전 2시간”이라며 “2시간 분량의 녹음이 확인 됐다. 앞으로 조사관들이 음성을 들으며 사고 당시 상황을 확인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토부는 CVR 녹취 내용을 공개할 수 있느냐는 질의에는 “사고조사위원회와 협조해보겠다”면서도 “조사 과정 중 가장 중요한 자료 중 하나라 (공개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또 다른 블래박스인 비행기록장치(FDR)는 저장장치와 전원장치를 연결하는 부위가 유실돼 미국으로 보내 분석할 예정이다.
한편 국토부는 사고기와 같은 기종인 B737-800을 보유한 6개 항공사에 대한 특별점검도 계속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당초 3일까지 조사를 진행하겠다고 밝혔으나 조사 기한이 더 늘어날 개연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경수 항공안전정책관은 “감독관들은 항공 안전과 관련된 모든 사안을 들여다본다”며 “중대한 위험이 발견될 경우 감독관은 긴급운항정지 등의 제재를 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