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광명뉴타운에서 공공재개발이 본격 닻을 올린다. 민간재개발이 어려워 정비구역에서 해제됐다가 공공재개발 추진을 통해 다시 지정된 곳이 처음으로 나왔다. 이에 따라 앞으로 추가 공공재개발을 확정하는 곳이 나올지 여부에 관심이 집중된다.
6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광명시는 지난달 30일 공공재개발을 추진 중인 광명7구역의 정비계획을 승인하고 정비구역으로 지정한다고 고시했다. 광명7구역은 2015년 주민들의 반대로 정비구역에서 해제됐었다. 이후 재개발을 재추진하려는 주민들의 요구에 따라 2021년 7월 공공재개발 후보지로 선정됐으며 이후 3년 5개월 만에 정비구역으로 확정된 것이다.
공공재개발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나 경기주택도시공사(GH) 등이 주민과 함께 시행에 나서는 재개발 방식이다. 공공성 확보를 전제로 용적률과 층수 제한 등 규제 특례를 받을 수 있고 사업 인허가 속도가 상대적으로 빨라 민간재개발로는 사업성이 나오지 않는 지역에서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광명7구역은 231만 9634㎡규모로, GH가 사업시행자이며 재개발을 통해 최고 49층, 전용 39~102㎡ 총 3010가구(임대 553가구 포함)를 계획하고 있다. 서울 지하철 7호선 광명사거리역 역세권에 위치해 있으며 바로 옆에 목감천, 너부대 공원 등이 있어 입지가 좋은 곳으로 평가받는다.
인근 A 중개업소 대표는 “정비구역으로 지정되면서 집주인들이 매물을 거두고 있다”며 “실투자금액이 2~3억 원 대로 부담이 크지 않아 투자 문의는 최근 들어 확실히 늘었다”고 말했다.
2022년 11월 공공재개발 후보지로 선정된 광명3구역은 현재 정비구역 지정을 위한 주민 동의서를 받고 있다. 내년 6월 정비구역 지정이 예상되며 지하 3층~지상 40층, 총 2310가구를 계획 중이다. 사업시행자는 LH다. 이 밖에 광명6구역도 공공재개발 후보지로 선정되기 위한 작업을 진행 중이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정비구역에서 해제됐던 곳이 다시 재개발을 진행하려면 민간재개발로는 힘들다"며 “이에 사업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공공재개발을 추진하는 곳이 많다”고 설명했다.
건설사들도 광명 공공재개발 사업지에 관심이 높은 편이다. 그동안 공공재개발은 낮은 공사비 때문에 중소 건설사가 주로 참여했다. 하지만 공공재개발 공사비도 부쩍 비싸진데다 광명뉴타운은 사업성이 좋은 곳으로 평가를 받으면서 대형 건설사들도 참여를 저울질하는 모습이다. 실제로 삼성물산과 현대건설·롯데건설·DL이앤씨 등 1군 건설사들이 광명 공공재개발을 환영한다는 플래카드를 내걸고 수주를 위한 사전 작업을 벌이고 있다.
다만 공공재개발 추진에 난항을 겪는 곳도 있다. 광명8구역은 2021년 10월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후보지로 선정돼 공공재개발을 추진했다가 주민 동의율이 부족해 2023년 해제됐다. 광명13구역은 4곳으로 쪼개진 이후 13-1, 13-2구역은 가로주택정비사업을 진행 중이며 최근 조합설립인가까지 받았다. 구역 전체 통합 공공재개발은 어려워진 셈이다.
한편 광명뉴타운은 총 16개 구역(해제 구역 5개 포함)으로 구성돼 있으며 이 중 11개 구역은 민간재개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사업이 빠른 10구역(광명호반써밋그랜드애비뉴), 2구역(트리우스광명)은 입주를 진행 중이며 나머지 구역은 올 하반기 입주, 일반분양 완료, 관리처분인가 등의 단계를 밟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