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학회가 “정부는 신규 원자력발전소 건설 계획을 축소하려는 내용의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즉각 철회하라”고 주장했다. 정부가 11차 전기본 세부 내용을 국회와 조율하는 과정에서 신규 대형 원전 건설 계획을 3기에서 2기로 축소하는 방안을 제안한 것에 대해 반대의 목소리를 낸 것이다.
원자력학회는 9일 보도자료를 통해 “전기본은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달라져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원자력학회는 “11차 전기본 실무안은 전기사업법에 따라 2023년 7월부터 91명의 전문가가 87회의 집중적인 회의를 거쳐 2024년 5월 확정한 것”이라며 “그런데 전문가의 검증 과정 없이 신규 원전 건설 계획 변경이 논의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력 수요와 공급 여건을 구체적으로 측정해 초안을 수립한 것이어서 객관적인 근거 없이 발전소 건설 계획을 바꾸면 곤란하다는 것이다. 원자력학회 관계자는 “이번 사례는 전기본이 과학적 문제가 아니라 정치적 흥정 대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며 “이럴 것이면 앞으로 전문가를 불러 모아 수고시킬 필요가 없다”고 꼬집었다.
원자력학회는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을 축소할 경우 미래 전력 수요에 충분히 대응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원자력학회는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 원자력을 청정에너지 전환의 필수 요소로 인정하고 원자력 발전 용량을 3배 확대하겠다고 선언한 이유가 있다”며 “미래의 주력 산업인 AI와 반도체 산업에는 막대한 전력 공급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원자력학회는 최근 독일에서 재생에너지 공급이 장기간 매우 저조한 상태를 유지하는 ‘둥켈플라우테(Dunkelflaute)’ 현상이 발생했다는 점에도 주목했다. 둥켈플라우테는 독일어로 ‘어둡고 바람이 멈춘 상태’라는 의미로 풍속이 급격히 떨어지고 흐린 날씨가 지속돼 풍력·태양력 발전량이 급감하는 상태를 일컫는다. 실제로 독일에는 둥켈플라우테가 장기화되면서 전기 도매 가격이 평소의 10배 수준으로 치솟기도 했다. 원자력학회는 “과도한 재생에너지 확대는 전기요금 변동성을 높여 제조업 경쟁력을 떨어트리고 서민 생계를 어렵게 만들 것”이라고 우려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