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세계 최대 전자·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5’에서 가정용 휴머노이드에 대한 선점 의지를 피력했다. 엔비디아가 휴머노이드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개방형 인공지능(AI) 솔루션을 발표한 데 이어 경쟁사들마저 잇따라 로봇 신제품 출시를 서두르는 상황에서 로봇 사업 방향성을 분명히 한 것이다.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는 8일(현지 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로봇사업은 확실한 미래(Certain future)라고 생각해 준비하고 있고 베어로보틱스 추가 지분 투자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가정에서 저희들이 쭉 주도를 해 왔고 가정이라는 영역이 주요 무대라서 가사 휴머노이드, 가사 로봇 등 콘셉트를 가지고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삼수 LG전자 최고전략책임자(CSO)도 “미래 휴머노이드에 대해 연구개발(R&D)을 통해 기술적 준비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로봇을 주요 카테고리로 올린 올해 CES는 앞서 진행된 젠슨 황 엔비디아 CEO의 키노트로 인해 한층 더 로봇 산업으로 무게중심이 기울고 있다. 황 CEO가 현실의 물리법칙마저 통합시킨 피지컬 AI 개발 솔루션 ‘코스모스’를 공개하면서 시각 데이터, 대형 AI 모델 등의 확보가 관건이었던 로봇 개발 과정을 크게 단축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김병훈 LG전자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코스모스를 두고 “그간 로봇 개발의 가장 큰 제약은 인터넷 가상 세계의 자료에 비해 양이 엄청 적은 현실 세계의 데이터를 통해서 학습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그런 부분이 가사용 휴머노이드 개발의 제약이었는데 새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등장하고 현실 세계의 물리적인 동작을 이해하는 디지털트윈 개발 툴이 나오면서 빠르게 휴머노이드 개발에 진입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조 CEO는 매년 위협 수위를 높이는 중국 가전 업계에 대해 본격적으로 대응에 나서야 할 단계라고도 진단했다. 그는 “그동안은 (위협을) 인식하는 단계였다면 이제부터는 그 인식을 대응을 위한 실행 단계로 옮겨야 하는 부분이 왔다”며 “기술과 제품 영역, 코스트(비용) 영역, 오퍼레이션(운영) 영역 세 가지 꼭지를 가지고 저희들이 디테일한 계획을 가지고 있거나 수립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곧 시작될 ‘트럼프 2기’ 이후 닥칠 불투명한 경영 환경에 대해서도 어려움을 인정했다. 고관세를 앞세운 통상 정책이 어려운 것은 물론 LG전자가 드라이브를 거는 전기차 부품 시장의 개화도 2~3년 뒤처질 것으로 예측했다. LG전자의 전장 사업은 크게 인포테인먼트, 조명, 구동 모터 등으로 나뉘는데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의 직접 영향을 받는 구동 모터 사업의 경우 운영 효율화를 위한 구조조정 등을 진행하고 있다.
LG전자가 추진 중인 인도 법인의 현지 시장 기업공개(IPO)와 관련해 IPO 이후 전략을 공개했다. 조 CEO는 IPO를 통해 확보한 자금으로 제품 판매와 현지 투자 양면에서 강한 드라이브를 걸 것을 시사했다. 그는 “TV를 포함한 모든 가전에서 1위를 하고 있는 게 인도”라며 “에어컨·세탁기 등 영역에서 여전히 잠재력이 큰 시장”이라고 했다. 투자에 관해서는 “인도 인재를 활용해야 하겠다는 생각이 크다”며 “앞으로 더 많은 공장을 늘리고 엄청난 현지 인재들을 활용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업계에서는 상장 시점을 4월로 보고 있다.
최근 발표된 지난해 4분기 어닝쇼크에 대해서는 “좋은 숫자를 못 보여드려 죄송하다”면서도 “확실한 건 기업 펀더멘털이 무너진 것은 아니다. 성장은 역대 최고이며 어닝쇼크는 일회성 비용과 비경상적 활동에 따른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하반기만 되면 손익이 안 좋아지는 계절적 경향은 기업간거래, 지역별 사업 밸런스를 통해 평탄화하겠다”고 약속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