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커벅스, 너 조심해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해 7월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서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를 향해 쏟아낸 협박성 발언이다. ‘저커벅스(Zuckerbucks)’는 돈을 뜻하는 은어 ‘벅스’와 ‘저커버그’를 합성한 단어로 트럼프 측이 저커버그의 민주당 선거 자금 지원과 선거 부정 행위 의혹을 제기하며 만든 조어다. 두 사람의 관계는 2021년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이 트럼프 지지자들의 의사당 난입 사태 이후 트럼프의 계정을 정지한 뒤 악화일로로 치달았다.
트럼프와 빅테크의 갈등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가 소유한 워싱턴포스트는 2016년 대선 당시 특별취재팀을 꾸려 트럼프에 대한 현미경 검증에 나섰고 트럼프는 대통령 취임 후 ‘아마존 때리기’로 보복했다. 성평등·다양성·환경 등 진보적 가치를 중시하는 빅테크는 전통적으로 민주당을 지지해왔고 ‘내 편이 아니면 적’이라는 사고를 가진 트럼프에게 그런 빅테크는 눈엣가시였다. 그러나 빅테크 진영의 정치적 균열은 2016년 페이팔 창업자 피터 틸의 트럼프 지지로 시작됐고 이번 대선에서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트럼프 선거운동의 선봉에 서면서 본격화됐다.
빅테크 수장들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출범을 앞두고선 줄줄이 ‘백기 투항’에 나서고 있다. 트럼프의 마러라고 자택을 두 차례나 방문한 저커버그는 트럼프 측근들을 중용하고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정책도 철회했다. 아마존과 오픈AI 등 도 취임준비위원회에 100만 달러씩이나 기부하고 공개적으로 트럼프를 추켜세우는 등 트럼프 줄대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 빅테크의 정치적 변신은 정부 정책이 기업 경영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한 첨단 기술 시대에 불가피한 선택일 수 있다. 더욱이 동맹국이나 기업에도 줄서기를 노골적으로 요구하는 게 트럼프의 스타일이다. 정치가 기업에 굴레가 되는 일은 바람직하지 않으나 트럼프 2기를 맞아 치밀한 전략과 대응책을 마련해둬야 하는 것도 현실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