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에 자동차부품을 납품하는 1차 협력사들의 전체 매출액이 90조 원을 돌파했다. 현대차·기아가 전 세계 3위 완성차 기업으로 거듭나는 과정에서 협력사들도 동반성장하며 우리 경제에 연간 수백 조원의 낙수효과를 내고 있다.
21일 현대차·기아에 따르면 직접 부품을 납품하는 1차 협력사들 가운데 현대차그룹 계열사 등을 제외한 237개 협력사의 2023년 매출액이 90조 2970억 원으로 나타났다.
1차 협력사들은 매출액 뿐만이 아니라 자산규모, 부채비율 등도 비약적으로 개선됐다. 2001년 237개 기업의 합산 매출액은 21조 1837억 원이었는데 2023년에는 90조 2970억 원으로 326%(4.3배) 증가했고 기업들의 연평균 매출액도 같은 기간 733억 원에서 3810억 원으로 약 420%(5.21배) 늘어났다. 이들 기업들의 자산규모는 2001년 509억 원에서 2023년 3378억 원으로 확대됐다. 같은 기간 152%에 달하던 평균 부채비율은 110%로 낮아졌다. 현대차·기아와 동반성장하며 매출과 자산이 늘고 빚은 줄어드는 자동차부품 생태계의 선순환 구조가 구축된 것이다.
1차 협력사들 가운데 유가증권시장(코스피)과 코스닥시장 상장된 협력업체 수도 2001년 46개사에서 2023년 말 70개사로 늘었다. 이들 기업의 시가총액도 1조 5000억 원에서 17조 4000억원으로 11.6배 커졌다. 협력사들의 외형 확대는 현대차·기아의 강한 의지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현대차·기아가 협력사와 평균 거래하는 기간은 35년이다. 국내 중소 제조업체의 평균 업력(13.5년) 보다 약 3배 가까이 길다.
낙수효과도 함께 커졌다. 협력사들의 외형이 커지면서 투자와 고용이 늘어나는 가치사슬(밸류체인)이 확대된 것이다. 한국은행산업연관표(2022년 연장표)를 활용해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 생산유발효과는 237조 8000억 원에 달했다. 생산유발효과는 하나의 최종 제품을 만들기 위해 직·간접적으로 만들어지는 생산을 말한다. 예를 들어 자동차 한 대를 생산하기 위해 타이어와 휠, 유리, 시트 등을 만들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발한 부가가치유발효과도 55조 6000억 원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간 취업유발효과(10억 원당 6.66명)는 60여만 명에 달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협력사와의 동반성장이 완성차 경쟁력의 원천’이라는 철학과 장기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동반성장 프로그램을 운영해 지속성장을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