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고령화에 따른 인력난이 지속되면서 기업들이 경력과 전문성을 갖춘 인재 확보를 위해 시니어와 외국인으로 채용 범위를 넓히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장기화되는 저성장 국면 속에서 계약직·파견직 등 유연한 고용 형태에 대한 수요와 더불어,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확산된 ‘사무실 복귀(RTO, return-to-office)’ 흐름도 이어질 전망이다.
글로벌 채용 컨설팅 기업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가 최근 발표한 ‘2025 디지털 연봉조사서’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의 인력난 우려는 지난 3년간 76%에서 91%로 매년 증가해왔다. 이에 반도체, 자동차, 화학 등 전문 인재의 공급이 수요 대비 절대적으로 부족한 B2B 제조 분야의 경우 은퇴한 전문 경력직 시니어를 계약직 혹은 파트타이머 형태로 고용하거나 기술 고문 등의 포지션에 채용해 인력난 해소에 나서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기업의 니즈에 맞는다면 통역사를 배정하더라도 외국인을 채용하는 사례들도 있다. 유창한 외국어 실력이나 오피스 소재국 거주 여부 등의 조건을 완화하면서까지 인재풀을 확대하고 있는 것이다. 저출생과 고령화로 노동 인구 감소에 직면한 한국에서도 폭넓은 인재 채용 시스템의 도입 여부가 향후 기업 간 격차를 벌리는 요인 중 하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올해도 계약직 및 파견직에 대한 높은 수요가 예상된다. 기업들이 경기 둔화와 투자 불확실성을 고려해 정규직 정원을 줄이거나 장기 계약을 단기 프로젝트로 세분화하는 흐름으로 볼 때, 계약직 및 파견직 채용 기조가 당분간 유지 또는 확대될 것이란 분석이다. 희망 퇴직이나 조직 축소 방침으로 구직 상태에 놓인 인재들도 조건과 커리어에 부합한다면 계약직 및 파견직으로의 이직을 긍정적으로 고려하는 추세다. 이 같은 트렌드를 반영해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도 지난해 5월 정규직과 임원직 위주로 진행하던 기존의 채용 서비스를 계약직과 파견직까지 확장한 바 있다.
사무실 복귀(RTO) 트렌드와 관련해선 한국 역시 글로벌 추이와 유사하게 기업과 인재 간 인식 차이가 두드러졌다.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를 통해 구직 중이거나 이직에 성공한 인재, 채용을 진행 중이거나 앞두고 있는 기업 인사 담당자 가운데 약 2만2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조사에 응한 한국 시장 기업의 40%는 가장 적절한 사무실 출근 일수가 ‘주 5일’이라고 응답했으며 ‘주 3일(25%)’과 ‘주 4일(16%)’이 뒤를 이었다. 또한 업무 생산성 향상을 위해 ‘업무 시간 및 팀원의 효율적인 활용(68%)’, ‘직무의 업스킬링(48%) 및 리스킬링(38%)’에 중점을 두겠다는 응답이 많았으며, ‘유연 근무(22%)’나 ‘재택근무 및 자율 출근(8%)’을 검토하겠다는 응답율은 저조했다.
이에 반해 한국 시장 구직자 및 재직자가 희망하는 사무실 출근 일수는 ‘주 5일(32%)’, ‘주 4일(24%)’, ‘주 3일(24%)’ 등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다. 이들은 ‘효율적인 시간 및 자원 관리(44%)’, ‘유연한 업무 환경(43%) 및 시간(37%)’, ‘자율적인 업무 방식(36%)’ 등이 생산성을 높인다고 답했으며, 선호하는 복지 혜택으로 ‘성과급(74%)’과 ‘유연 근무(48%)’, ‘원격 근무(33%)’를 꼽았다. 재택근무 축소 시 이직을 고려하겠다는 의견도 있었다. 경영 침체에 대응하고자 대면 근무로 회귀하려던 기업으로서는 팬데믹을 거치며 유연하고 자율적인 근무 환경에 익숙해진 인재들과 타협점을 찾는 게 과제가 될 전망이다.
한편 산업별로 살펴보면 제조나 테크 분야에서 예상되는 ‘인재 전쟁’이 역량 있는 주니어와 중간 연차 실무자에게 기회가 될 수 있다. 제조업은 산업 확장세를 고려해 실무를 맡길 수 있는 다수의 인력을 선제적으로 채용하는 추세다. 실무 레벨의 영어 소통과 업무 주도가 가능한 중간 연차 실무자라면, 이직 시 최소 15% 이상의 연봉 상승을 기대해볼 만하다. 개발 직무에선 1~3년차 주니어 채용이 차츰 재개될 양상이 보이나, 10년차 이상의 시니어라면 기술 역량과 소프트 스킬, 학벌, 이전 회사의 브랜드 가치 등을 골고루 보여줘야 채용 관문을 뚫을 수 있다.
최준원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지사장은 “인구 고령화와 출생률 저하가 맞물린 한국 시장에서 기업들이 보다 폭넓은 인재풀과 유연한 고용 형태를 도입해가는 글로벌 채용 트렌드를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며 “구직자 역시 치열한 인재 경쟁 속에서 기회를 잡으려면 기업과 업계의 니즈를 면밀히 파악하고 실무 역량은 물론 자신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