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이 지난해 7조 원이 넘는 부실채권을 정리한 것으로 집계됐다. 고금리로 연체율이 높아지는 가운데 건전성을 관리하기 위한 조치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5대 은행은 부실채권 7조 1019억 원을 상각·매각했다. 이들 은행의 부실채권 상각·매각 규모는 전년(5조 4544억 원) 보다 30.2% 늘었다. 2022년(2조 3013억 원) 대비로는 3배가 넘는 수준이다.
은행은 3개월 이상 연체된 대출 채권을 고정 이하 여신으로 분류하고 회수 가능성이 현저히 낮다고 판단하면 떼인 자산으로 판단한다. 이후 장부에서 이들을 지우거나(상각) 자상유동화 전문회사에 파는(매각) 방식으로 처리한다. 지난해 연체자가 많아지면서 건전성 관리를 위해 부실채권 정리를 늘린 것으로 보인다.
은행권 연체율은 코로나19 시기인 2020~2021년 떨어졌다가 최근 들어 약 5년 전 수준까지 높아진 상태다. 2024년 11월 말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0.52%로 코로나19 이전(2019년 11월)인 0.48% 수준이다.
은행권은 경기위축으로 올해도 연체율이 떨어지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더해 미국이 최근 정책금리 인하를 멈추며 고금리 상황이 길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부실채권 정리를 비롯한 건전성 강화에 힘을 쏟을 것으로 예상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