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지난해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기점으로 금리 인하를 중단하고 당분간 휴지기에 돌입할 것임을 시사했다. 지난 회의에서 정책금리 25bp(1bp=0.01%) 추가 인하하며 100bp 금리 조정을 일단락한 가운데 올 연간 금리 인하 폭은 기존 4회(100bp)에서 2회(50bp)로 상당 폭 축소됐다.
분기 말 발표되는 경제전망(SEP) 측면에서 가장 큰 변화는 성장률과 인플레이션의 상향 조정이었다. 직관적으로 미국 경기가 예상보다 더 호조를 보이는 가운데 올해 말까지 인플레이션 전망치가 큰 폭으로 오르면서 금리 인하가 덜 필요할 것이라는 논리였다. 연준은 금리 추가 조정과 관련해서 시기와 범위(the extent and timing)를 검토한다는 문구를 추가하며 당분간 금리 동결 기조를 이어갈 것임을 강하게 시사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임기가 시작된 이후 멕시코와 캐나다에 관세 25% 부과가 발표됐고 중국에 대해서는 10% 추가 관세 부과를 검토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아직은 우려보다 초기 정책이 과격하지 않은 상황이며 관세를 협상 카드로 활용하고 있는 점도 확인되고 있다.
연준은 지난달 회의에서 트럼프 신정부의 관세, 이민, 재정, 규제 관련 정책의 불확실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연준은 성명서를 통해 인플레이션 2% 목표치 달성을 향해 진전을 이뤘다는 기존 문구를 삭제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오히려 추가 진전이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이러한 점은 매파적으로 해석되기에 충분했지만 파월은 기자회견에서 단순히 문구 정리(language cleanup)였다고 해명하며 주거비 인플레이션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유지했다.
연준은 아울러 현재 금리 수준에 대해서 중립금리(인플레이션을 자극하지 않으면서도 고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실질 금리 수준)를 의미 있게 상회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를 감안하면 트럼프 신정부 정책과 영향이 분명해지고 디스인플레이션(물가 상승률 완화) 기조가 유효함을 확인할 수 있는 시점까지 추가적인 금리 인하는 보류될 것으로 예상된다. 양적긴축(QT)에 대해서는 은행의 지급준비금이 여전히 풍부하다고 평가하며 대차대조표를 계속 줄여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종합적으로 연준은 뚜렷한 정책 변화 없이 ‘일단 지켜보자(wait and see)'는 식의 관망에 돌입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올해 다음 달 회의를 포함 당분간 금리 동결 기조가 이어진 후 올 6월을 포함해 연 2회(50bp) 수준의 얕은 보험성 인하 사이클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한편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지난해 12월 초 이후 급등세를 이어가면서 지난달 중순 4.8%를 넘어선 수준까지 상승했다. 미국채 10년물 금리의 급등은 트럼프 신정부 정책 우려를 반영한 기간 프리미엄(term premium)이 상승한 영향이 대부분인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위험중립 금리와 테일러준칙(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을 고려하는 통화정책 준칙)에 따른 적정 기준금리 수준은 4.1% 내외를 나타내고 있다. 중장기 기대인플레이션이 2.5%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을 감안하면 실질금리는 1.6% 내외로 파악된다. 트럼프 정책이 우려보다 과격하지 않다면 상반기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4.3% 내외까지 반락할 것으로 예상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