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월 소비자물가가 5개월 만에 2%대 상승률을 나타냈다. 국제유가와 환율이 뛰면서 물가를 끌어올렸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2025년 1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2.2% 상승했다.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10월 1.3%까지 떨어졌다가 11월(1.5%)부터 다시 오르기 시작해 3개월 연속 상승했다.
품목별로 보면 1월 석유류 가격이 전년 대비 7.3% 올라 지난해 7월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며 전체 물가 상승 폭을 0.27%포인트 끌어올렸다. 국제유가 상승과 함께 국내 유류세 조정 영향이 맞물리면서 국내 휘발유(8.2%)와 경유(10.5%) 가격이 전반적으로 오른 것이다. 이두원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환율이나 국제유가는 시차 없이 물가에 바로 반영돼 물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한국은행도 최근 1400원 후반대의 고환율이 1월 소비자물가를 0.1%포인트가량 높인 것으로 추정했다. 김웅 한은 부총재보는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환율이 높은 수준을 지속하는 가운데 국제유가도 상승하면서 당초 예상대로 전월보다 상승 폭이 확대됐다”고 평가했다.
석유류에 더해 채소 가격도 가파르게 상승했다. 배추는 겨울철 작황 부진과 저장 물량 감소로 전년 대비 가격이 66.8% 급등하며 2022년 10월 이후 2년 3개월 만에 상승률이 가장 높았고 당근 가격도 전년보다 76.4% 올라 2017년 2월(103.7%) 이후 7년 11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특히 김 가격이 국내외 수요 증가와 기저 효과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32.5% 급등했다. 이는 냉해 현상이 심각해 김 작황이 많이 부진했던 1987년 11월(42%) 이후 37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마른 김의 원재료인 물김 가격은 많이 떨어졌지만 소비자가 구매하는 마른 김 가격은 좀처럼 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유통 과정상의 문제가 없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이날부터 관계기관 합동으로 국내 김 유통·가공업체에 대해 현장 점검을 실시했다.
이와 함께 외식 제외 서비스 물가도 3.5% 오르며 전체 물가를 끌어올렸다. 실손 보험료가 오른 데다 해외 단체 여행비(5.7%)와 콘도 이용료(18.0%) 가격이 급등하면서 여행 관련 소비자 부담이 늘어났다.
더 큰 문제는 최근 국제유가와 환율 변동성이 커서 올해 상반기에 물가가 더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이다. 다만 근원 물가가 1% 후반이고 추후 국제유가도 하락할 가능성도 높다는 게 정부의 진단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당분간) 2% 수준에서 등락은 좀 있겠지만 2%대 상승률이 계속 유지된다고 보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