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주변을 떠도는 '우주 쓰레기'로 인해 항공 운항이 점점 더 위험해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간 400개 이상의 대형 인공위성과 발사체 등 우주물체가 지구로 추락하는 데 이어, 우주물체가 항공 운항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항공기가 우주 잔해물과 충돌할 가능성이 지금 당장은 크지 않지만, 항공 산업과 우주비행 산업이 모두 성장세에 있어 충돌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7일(현지시간) 미국 ABC 뉴스는 지난달 과학 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된 논문 내용을 소개했다. 이 논문은 "우주 물체의 통제되지 않은 (대기권) 재진입은 비행 중인 항공기와 충돌할 위험을 야기한다"며 "충돌 확률은 낮지만 그 결과는 치명적일 수 있으며, (잔해물) 재진입과 비행이 모두 증가함에 따라 위험은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우주 잔해물은 인공위성 등 인간이 우주에 접근하기 위해 발사한 모든 발사체에서 나온다. 지구 궤도를 도는 잔해물은 시간이 지나면 대기권으로 낙하하게 되는데, 이때 대부분 불에 타면서 미세입자로 변하게 된다. 하지만 우주선을 쏘아 올릴 때 사용하는 로켓의 잔해물은 크기가 크고 열에도 강해 대기권 재진입 시 지상과 해상, 공중에서 인명피해를 입힐 수 있다.
논문 주저자인 아론 볼리 컬럼비아대 부교수는 ABC 뉴스에 지구 근처에 소프트볼 크기 이상의 우주 잔해물은 약 5만개로 추정되고, 그보다 작은 것까지 합치면 수백만개에 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볼리 교수는 우주 잔해물에 따른 위험이 커짐에 따라 어떤 경우에 영공을 폐쇄할 것인지 기준을 신중히 검토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2022년엔 스페인과 프랑스는 20t(톤) 규모의 로켓 본체가 대기권 진입을 앞두자 일부 영공을 폐쇄했는데, 당시 645대의 항공기가 30분간 운항 지연을 겪었고, 비행 중이던 일부 항공기는 우회 운항을 했다. 볼리 교수는 "이런 혼란은 분명히 발생하고 있으며, 앞으로 더 많이 일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궤도를 돌다 지구로 추락하는 우주 쓰레기 문제도 심각하다. 미국 NASA(항공우주국)와 천문연구원에 따르면 레이더로 추적이 가능한 지름 10㎝ 이상의 우주물체는 약 2만9000개에 달한다. 이 중 연간 400개 이상의 대형 인공위성과 발사체가 추락하고 있다. 우주항공청은 지구로 추락한 인공우주물체가 2022년에 2500여건에 달해 5년 전보다 10배 가까이 늘었다고 전했다. 미국 국립연구회는 우주 쓰레기 양은 이미 임계점을 돌파했고 거대 파편들이 서로 충돌하며 그 양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