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초등학교 여아 살인 사건 이후 우리나라도 미국처럼 학교 내 청원경찰을 배치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학부모들은 물론 교육계 안에서도 나오고 있다. 피해자 김하늘 양의 피습 이후 행방을 찾기까지 1시간이나 걸렸는데 주기적으로 교내 순찰을 도는 인원이 있었다면 사고 당시 아이의 비명 소리를 듣고 즉각 대처할 수 있었다는 이유에서다.
12일 서울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학교 내부 상황을 정기적으로 살피는 일종의 청원경찰과 같은 인력을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사건으로 충격을 받은 학부모들은 미국식 교내 학교 담당 경찰관(SROs) 배치를 요구하고 있다. 아홉 살 난 딸을 둔 학부모 최 모(38) 씨는 “미국처럼 교내 청원경찰이 배치돼 있고 범행 당시 비명을 들을 수 있는 사람이 있었다면 아이 목숨은 살릴 수 있지 않았을까 싶다”고 밝혔다.
미국의 학교 담당 경찰관은 학교 내부 시설 순찰, 학내 범죄 조사, 범죄 예방 교육 등을 맡는다. 학교폭력 예방에 집중하는 우리나라와는 달리 교내 안전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구조다. 인원도 많다. 경찰대학 산하 치안정책연구소에서 2014년 발행된 책임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뉴욕과 로스앤젤레스의 경우 학교 담당 경찰관 1명당 각각 3.5개, 1.6개의 학교를 담당했다. 반면 우리나라는 지난해 기준 경찰관 1명당 평균 전담 학교 수는 10.7곳이나 됐다.
교사들 사이에서도 교사 혼자 등하교 시간 및 돌봄교실 관리 시 혼자 모든 아이들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어려운 만큼 안전 전담 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다. 5년 차 초등교사 정 모(30) 씨는 “교사 혼자 맞춤형 하교 지도를 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며 “전담 인력이 있다면 교사와 함께 조금이나마 안심하고 아이를 챙길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 역시 안전을 담당할 수 있는 전담 인력 확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권혜림 서원대 경찰행정학부 교수는 “단순히 하교 모습을 보는 것을 넘어 예측 불가능한 위기 상황에 투입될 수 있는 전문 인력이 학교 내에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상암 원광대 경찰행정학과 교수 역시 “학교 안전 지킴이의 인원·근무시간 등을 늘려 안전망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