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가 예술 생태계 발전을 지원하기 위한 신규 파트너십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를 18일 공개했다.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는 국내외 예술 기관들의 상호 협력을 통해 공동 전시를 선보이는 신규 프로젝트다. 전 세계 예술 기관들이 초지역적 주제를 바탕으로 협업하는 등 예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는 목표다.
트랜스로컬 시리즈 전시는 단순한 순회 전시가 아닌 각 기관이 위치한 지역의 특수성과 초지역적인 가치를 담은 방식으로 기획된다. 참여 기관들은 각 지역의 정체성을 존중하면서도 개인과 공동체, 지역과 세계, 과거와 미래를 연결하는 공동 전시를 구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현대차(005380)는 공동전시 지원을 향후 10년 간 지속할 계획이다. 지속가능한 협업 관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연구와 신작 커미션을 제공하며 전시·연계 프로그램 진행 등 포괄적인 뒷받침도 지속한다.
첫 협업은 ‘2025 청주공예비엔날레’와 ‘휘트어스 미술관’이 맡는다. 청주공예비엔날레는 매회 30만여 명이 방문하는 공예 분야를 대표하는 비엔날레다. 1999년 처음 개최된 이래 매회 평균 60여 개국, 2000여 점의 작품을 선보여왔다. 글로벌 섬유 산업의 중심지였던 영국 멘체스터에 위치한 휘트워스 미술관은 약 2만 점의 직물 작품을 보유하고 있다. 다수의 아시아 지역 작품을 조명해 온 만큼 청주공에비엔날레와의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번 협업에는 인도 뉴델리의 국립공예박물관도 참여한다. 첫 교류 전시는 9월 4일 청주공예비엔날레 특별전에서 진행된다.
두 번째 교류기관은 백남준 아트센터와 브라질의 피나코테카 미술관이다. 지구 대척점에 위치한 두 기관은 '미디어와 퍼포먼스'를 주제로 물리적인 거리를 극복하는 초지역적 교류를 상징적으로 보여 줄 예정이다. 공동 전시는 준비를 거쳐 2026년 10월부터 시작된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은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를 통해 한국 예술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역 미술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며 "새로운 예술적 실천에 동참하고자 하는 기관들을 다각도에서 지원하며 초지역적 협업의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