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068270)이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에 대응해 올 상반기까지 현지 생산시설 투자 결정을 마무리하기로 했다.
셀트리온은 19일 홈페이지에 공지문을 올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상호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의약품 관세 부과 여부에 대한 일부 주주들의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며 대응 전략을 소개했다.
셀트리온은 “약가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의약품 관세는 오히려 약가 인하를 위해 눈에 띄는 제도적 노력을 보였던 트럼프 대통령의 과거 기조와 정면으로 배치되는 정책 방향성을 보여주고 있다”며 “이달 12일에는 미국 공화당 소속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이 인터뷰에서 ‘의약품 등 일부 품목은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는 의견도 밝혀 실제 의약품 관세 시행 여부는 여전히 관망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셀트리온은 “미국의 의약품 관세 부과 가능성에 대해 발생 가능한 상황별로 최적의 대응 체계를 이미 구축해놓고 있다”며 “올해 미국에서 판매 예정인 회사 제품에 대해 1월 말 기준 약 9개월 분의 재고 이전을 이미 완료함에 따라 의약품 관세 부과 여부와 상관없이 올해 미국 내 판매분에 대해서는 그 영향을 최소화시킨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관세 리스크 발생 이전부터 현지 위탁생산(CMO) 업체를 통해 완제의약품(DP)을 생산해오고 있고 이들 제조소와의 협의로 추가 생산 가능 물량도 이미 확보했다”며 “의약품 관세가 부과되는 경우 올해 영향은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대응을 완료했다”고 덧붙였다.
셀트리온은 올 상반기 중 투자 결정도 마무리해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셀트리온은 “이미 관세 부과 시 완제의약품보다 세 부담이 훨씬 낮은 원료의약품(DS) 수출에 집중하고 있고 충분한 제조 역량을 갖춘 현재 CMO 업체들과 제품 생산 협력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며 “의약품 관세 부과 여부 추이에 따라 필요 시 현지 완제의약품 생산을 지금보다 더욱 확대하는 전략으로 상황 변화에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따라서 2026년 이후에도 관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략들을 이미 갖추었으나 지난해부터 구체적 검토를 진행해온 미국 현지 원료의약품 생산시설 확보도 올해 상반기 중 투자 결정을 마무리해 근본적이고 지속 가능한 보호무역 리스크 대책을 빠르게 마련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