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당국이 가계대출 증가세를 관리하기 위해 카드사에 카드론(장기 카드대출) 관리 목표를 제출하도록 요구했다. 금융 당국이 카드사에 카드론 관리 목표를 요구한 것은 2021년 이후 3년 만의 일이다.
19일 금융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말 전업카드사에 2025년 카드론 관리 목표치를 내라고 지시했다. 각 회사는 카드론 잔액과 연체율 등을 고려해 구체적인 목표치를 책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 당국이 2021년 이후 3년 만에 카드론 관리 계획을 요구한 것은 지난해 카드론 잔액이 빠르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9개 카드사의 카드론 잔액은 42조 3873억 원으로 전년 동기(38조 7613억 원)에 비해 9.4%(3조 6260억 원) 늘었다. 금융권의 관계자는 “지난해 시중은행들이 가계대출 총량 관리에 돌입하면서 대출 문턱을 올렸고 저축은행업도 대출 영업을 축소하면서 대출 수요가 카드론, 현금 서비스 등으로 집중돼 카드론 잔액이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당국은 가계대출 증가율을 경상성장률(3.8%) 이내로 제한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카드론이 서민들의 최후의 보루 역할을 해온 만큼 일괄 규제보다는 시장 상황을 고려해 신중하게 접근한다는 방침이다. 카드론을 과도하게 제한할 경우 서민들이 불법 사금융으로 내몰릴 위험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명목성장률을 대출 증가율 기준으로 잡고 있는 것은 맞다”면서도 “서민층의 자금 공급을 원활히 한다는 측면에서는 유연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카드 업계에서는 금융 당국이 카드론마저 제한하는 데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가맹점 수수료가 인하되면서 카드사는 희망퇴직과 무이자 할부 기간 단축 등 비용 절감 노력과 함께 카드론으로 수익을 유지해왔다”며 “애플페이 확산에 카드론까지 막히면 카드사 영업은 크게 위축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