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1일 “가계부채 비율이 국가경제에 부담을 주지 않는다고 평가되는 80% 수준까지 안정화될 수 있도록 일관성있게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다음주 가계부채 관리방안을 확정·발표할 예정이다.
최 대행은 이날 열린 거시경제·금융 현안간담회(일명 F4회의)에서 “최근 국내외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이나 대외 불확실성이 여전한 만큼 높은 경계의식을 갖고 관계기관 합동 24시간 점검체계를 유지해 달라”며 이같이 말했다. 간담회에는 최 대행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등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는 가계부채 관리에 대한 논의가 주를 이뤘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04년 이후 17년 연속 증가한 데다 코로나19가 한창이었던 2021년 말 기준 98.7%까지 치솟아 우리 경제의 잠재 리스크로 지적돼왔다.
2022년 이후 가계부채 비율은 3년 연속 하락해 최근에는 코로나 이전인 2019년 89.6%에 근접한 것으로 예상된다. 올 4월 확정되는 지난해 가계부채 비율은 90.5%로 점쳐지고 있다. 다만 최근 금리인하 기대로 인해 다시 증가세로 돌아설 수 있는 만큼, 참석자들은 가계부채 관리에 유의해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
앞서 이 원장은 19일 은행장들과 만나 “올해도 가계부채가 명목 경제성장률 이내로 관리되고 3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 등 상환능력 심사 관행이 확립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협조해달라”고 당부한 바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