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에 투자하는 서학개미들이 AI 의료주를 담고 있다.
최근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 세이브로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들은 지난 7~13일 일주일간 템퍼스AI 주식 4719만달러(683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상장지수펀드(ETF)를 제외할 경우 테슬라에 이어 2위다.
템퍼스 AI 주가는 올해 초 대비 150% 이상 급등했다. 연초 34달러(약 5만원)선에서 출발한 주가는 지난 13일 86달러(약12만4000원)까지 올라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다. 템퍼스 AI의 주가가 80달러를 넘긴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작년 6월 월가에 데뷔 이 기업은 AI를 활용해 진단·데이터 판매 사업을 하고 있다. 진단 부문에서 확보한 데이터를 신약 개발사에 판매하거나, 이를 바탕으로 AI 솔루션을 제공하는 식이다.
이 기업은 투자 고수로 알려진 낸시 펠로시 미국 전 하원의장이 최근 공개한 주식 거래 내역에도 포함돼 화제를 모았다. 펠로시 전 의장은 벤처캐피털리스트인 남편과 함께 주식으로 상당한 수익을 거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서학개미들이 해당 기업을 대거 사들인 것은 올트먼 CEO 때문이다. 지난 4일 올트먼 CEO는 한 간담회에서 "AI가 과학에 기여할 수 있는 시대가 오고 있다"며 "질병 치료 같은 분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의료AI 산업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국내 의료 AI 기업으로도 투자 온기가 퍼졌다. 21일 기준 국내 대표 의료AI 기업인 보로노이의 주가는 올해 들어 47.88% 올랐다. 제이엘케이와 뷰노의 주가는 각각 9.82%와 9.30% 상승했고, 루닛은 7.37% 뛰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