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자 10명 중 7명이 매출이 전년보다 악화됐다고 응답했다. 폐업을 고려하는 자영업자도 10명 중 4명이 넘었다. 치솟는 물가와 인건비로 인한 부담이 자영업을 하는데 가장 큰 어려움이라고 평가했다.
한국경제인협회가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음식점업과 숙박업, 도·소매업, 기타서비스업 등의 자영업자 500명을 대상으로 ‘자영업자 2024년 실적 및 2025년 전망 설문조사’를 실시했다고 25일 밝혔다.
조사 결과 자영업자 10명 중 7명(72.6%)가 지난해 매출이 2023년에 비해 감소했다고 답했다. 감소폭은 평균 12.8%였다. 지난해 순이익도 10명 중 7명이 감소했고 감소폭은 13.3%로 나타났다.
자영업자들은 올해 사업도 어려울 것이라고 예측했다. 자영업자 10명 중 6명(61.2%)이 올해 매출이 지난해에 비해 감소할 것이라고 답했다. 순이익도 10명 중 6명(62.2%)이 지난해에 비해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매출과 순이익이 지난해에 비해 각각 평균 6.5%, 7.2%정도 줄어들 것이라는 게 이번 설문에서 나타난 자영업자들의 판단이다.
자영업자들이 경영에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은 문제는 원자재·재료비(22.2%), 인건비(21.2%) 등이었다. 이어 임차료(18.7%), 대출상환 원리금(14.2%)로 나왔다.
자영업자들은 평균 1억, 금리 8% 이상의 고금리로 대출을 받은 것으로도 조사됐다. 평균 대출금액은 지난해 기준 1억 2000만원, 연 평균 금리는 8.4% 수준으로 월 84.3만원의 이자를 부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금은행의 평균 대출금리가 4.7%, 소액대출 금리는 6.9% 수준이다. 이를 감안하면 높은 금리를 부담하고 있는 자영업자들이 제2 금융권 등에서 대출을 받고 있는 것으로 한경협은 추정했다.
자영업자들은 10명 중 4명이 실적악화와 재무부담으로 인해 3년 이내에 폐업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도 나왔다. 폐업을 고려하는 이유는 △영업 실적의 지속적인 악화(28.2%) △경기회복 전망 불투명(18.1%) △자금 사정 악화 및 대출상환 부담(18.1%) △임차료·인건비 상승(11.9%) △원재료 가격 상승(11.9%)였다.
올해 경영에서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위축(34.9%) △원부재료비 매입비 부담(24.0%) △임차료·세금·수수료 부담(12.3%) 등을 꼽았다. 자영업자들은 정부에 △대출상환 유예 등 금융지원 확대(22.1%) △소비 촉진 방안 확대(20.9%) △원부자재 가격 등 물가 안정화(14.0%)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우리 경제의 저성장 구조로 가계의 소비 펀더멘털이 악화되고 내수가 얼어붙어 수많은 자영업자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라며 “자영업자들의 어려움이 지속될 경우 서민경제의 위기가 심화될 수 있으므로 금융지원을 강화하고 원부자재 가격 안정과 소비촉진 방안을 강화해 소상공인들의 숨통을 틔워줘야한다”고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