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가 금융·고용·복지 복합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담직원의 역량을 강화해 이용자 편의성을 높이기로 했다. 올 7월부터는 공공마이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상담도 도입한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13일 서민금융진흥원에서 관계기관과 함께 '복합지원 추진단 제4차 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금융·고용·복지 복합지원 내실화 방안을 발표했다. 금융·고용·복지 복합지원은 서민·취약계층의 온전한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기 위해 금융지원을 고용 및 복지와 연계한 서비스이다. 금융위에 따르면 지난해 복합지원 서비스 이용자는 7만 8379명으로 전년보다 71.2%(3만 2606명)이나 늘다.
현장 상담직원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이번 복합지원 내실화 방안의 핵심이다. 구체적으로는 △업무 효율화 △전문성 강화 △사기 진작 3개 분야다.
우선 업무 효율화를 통해 복합직원 상담직원의 업무 부담을 낮추기로 했다. 이를 위해 올 2분기부터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의 직원이 지방자치단체에 찾아가 주민을 대상으로 금융상담을 제공하는 ‘찾아가는 복합지원’ 사업을 부산·광주에서 시작한다. 부산·광주에서는 서금센터 직원이 지자체 기관을 직접 방문해 복지 상담직원에게 금융 제도를 설명해주는 ‘집중 현장 교육’도 시범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또 올 4분기로 발표된 공공마이데이터 활용 맞춤형 상담의 도입 시기는 7월로 앞당기기로 했다. 이른 시일 내 상담직원이 정확한 정보를 토대로 고객에게 필요한 제도를 골라 복합지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담직원의 전문성을 올리기 위한 교육도 활성화한다. 각 금융·고용 상담 기의 직원들이 타 기관을 방문해 본인 담당 분야를 설명해주는 ‘집중 현장(방문) 교육’을 진행한다. 서금센터 직원은 상담 직무 배치 전 복합지원 전문가 교육을 의무적으로 수강하게 된다.
모범사례 전파 및 포상으로 상담직원의 사기 진작에도 힘쓸 방침이다. 우수사례집·영상을 만들고 연중·연말에 우수사례자에게 복지 혜택을 제공하거나 시상해 상담직원의 적극적인 업무 수행을 유도한다.
김 위원장은 이날 복합지원 상담직원과의 간담회도 가졌다. 금융·고용·복지 각 분야를 담당하는 상담직원들은 현장에서 느꼈던 업무 애로사항을 공유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