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금융감독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앞으로 3년간 디지털 전환을 추진한다. 인력에 의존하는 기존 방식으로는 변화하는 환경과 리스크에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이복현 금감원장의 의지가 반영됐다.
금감원은 17일 '금융감독 디지털 전환 선포식'을 열고 올해부터 2027년까지 3년간 금감원 디지털 전환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금감원은 선제적으로 금융 산업과 시장을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위험에 대응하며 능동적으로 변화와 혁신을 주도해야 한다"며 디지털 전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디지털 전환의 중점 추진 방향은 △데이터 기반 금융감독 체계 구축 △금융감독 업무 프로세스 디지털화 △스마트 워크플레이스 구축 △금융감독 정보 접근성 확대 등 4가지이다.
우선 금감원은 금융사와 기업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방침이다. 이 원장은 "기업 여신, 재무 정보 등 금융 데이터에 대한 다차원의 정밀한 분석 환경을 마련해 리스크를 먼저 파악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함으로써 금융시장의 건전성과 안정성을 제고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업무의 디지털화도 추진한다. 민원 내용을 이해하는 생성형 AI를 통해 민원 분류, 유사사례 제시, 회신문 초안 작성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업무용 태블릿 PC와 무선 네트워크 환경 등 디지털 인프라를 단계적으로 도입하면서 업무 환경도 디지털화할 계획이다.
대외 공시 범위를 확대해 금융감독 정보에 관한 접근성도 늘리기로 했다. 제재 공시 내용에 구체적인 사실 관계를 포함하는 한편, 기존 PDF 형태 공시에서 기계 번역이 가능한 형태로 공시 방식을 개선할 예정이다.
이 원장은 이날 "사람에 의존하는 전통적 방식으로는 급변하는 금융환경 속에서 새로운 리스크를 적시에 파악하고 대응하는데 한계가 있다"며 "관성에서 벗어나 과감하게 바꿔나가야 금융감독 혁신 목표도 달성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