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최근 미국 주식시장 변동성 우려가 확대되고 있다며 '서학개미'(미국 등 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국내 투자자)들에게 분산투자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국은행 국제국 해외투자분석팀 이재민 과장·장예진 조사역은 26일 한은 블로그에 게시한 '서학개미, 이제는 분산투자가 필요할 때'라는 글에서 “2020년 코로나 펜데믹 이후 개인 투자자들의 해외주식 투자가 확대됐는데 미국 투자 편중이 심화됐다”며 이 같이 밝혔다.
한국예탁결제원의 외화증권예탁결제 자료에 따르면 개인투자자 포트폴리오에서의 미국 주식 비중은 2019년 말 58.2%에서 2023년 말 88.5%로 늘었으며 이달 18일 기준 90.4%까지 높아졌다. 특히 미국 대형 기술주인 '매그니피센트7'(M7)와 레버리지 ETF 등 일부 종목에 집중 투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 상위 10위 종목에는 테슬라, 엔비디아, 애플, 구글 등 M7 종목 대다수와 나스닥100 및 S&P500 지수 등을 추종하는 일반·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 등이 올랐다.
지난 18일 기준 개인투자자의 상위 10개 종목 투자 잔액은 454억달러로 전체 투자액의 43.2%를 차지했다. M7 종목 투자잔액은 2019년말 19억달러 수준에서 지난 18일 기준 371억달러까지 늘었다.
이재민 과장·장예진 조사역은 “개인투자자 상위 50위 투자종목에는 레버리지 ETF와 인버스 ETF 7개 종목이 포함됐다”며 “우리나라 투자자가 다른 나라에 비해 과도한 리스크 추구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미국 증시에 대한 부정적 전망이 확산되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S&P500지수는 미국 대선 직후 트럼프 2기 정부 정책 기대감으로 지난달 19일 사상 최고치(종가 6144.15)를 기록했으나 이후 관세정책과 기업 실적 악화 우려로 하락했다. 모건스탠리는 관세정책 리스크 등으로 S&P500지수가 5500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골드만 삭스는 향후 10년간 S&P500 총수익지수(Total Return Index) 연평균 수익률이 채권 금리보다 낮은 3%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그런데도 개인투자자는 미국 주식을 중심으로 해외주식 저가 매수를 이어가고 있어 리스크에 노출될 수 있으며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재민 과장은 "한번 손실을 보면 회복에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며 "서학개미들이 안정적인 투자 이익을 얻으려면 M7, 레버리지 ETF 등 일부 종목 과도한 편중을 줄이고 위험을 분산하려는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