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005380)그룹과 네이버가 미래 모빌리티 동맹을 강화한다. 현대차·기아(000270)의 신차에 네이버의 생성형 대규모언어모델(LLM) 기반 인공지능(AI) 비서 기능을 탑재해 이동 경험을 혁신한다. 현대차그룹은 2027년 레벨2+ 자율주행 기술을 적용하는 등 소프트웨어(SW) 중심의 ‘모빌리티 테크기업’으로 전환한다.
현대차그룹은 28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발자 콘퍼런스인 ‘플레오스 25’를 열고 새 SW 브랜드이자 기술 플랫폼인 플레오스를 공개하고 자율주행차 개발 현황을 공유했다. 플레오스는 차량 제어 운영체제(OS) ‘플레오스 비히클 OS’와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플레오스 커넥트’로 구현된다. 스마트폰처럼 자동차도 업데이트해 최신화하고 차량에서 스마트폰 앱과 콘텐츠를 쉽게 이용할 수 있게 연결성을 강화한다.
현대차그룹은 플레오스 커넥트를 내년 2분기 출시하는 신차부터 순차 적용해 2030년까지 2000만 대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새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는 네이버와 협업으로 개발한 AI 음성 비서 기술을 적용한다. 운전자의 음성 명령을 알아듣고 복잡한 요청도 쉽게 처리한다. 운전자가 출근길 브리핑을 요청하면 회사로 길을 안내하면서 날씨·뉴스·일정 등을 챙겨주는 식이다.
송창현 현대차·기아 첨단자동차플랫폼(AVP) 사장은 자율주행 담당 AI인 ‘아트리아 AI’를 소개하며 “8개의 8메가 픽셀 카메라와 1개 레이더를 통해 도로 상황을 인식한다”며 “고정밀 지도 없이 작동하고 각국의 교통법규를 준수하는 안전장치를 가지고 있다”고 전했다. 현대차그룹은 내년 3분기 시제품 차량에 아트리아 AI를 처음 탑재한 후 2027년 레벨2+(플러스) 자율주행을 양산 차량에 적용할 계획이다. 미래 모빌리티인 소프트웨어중심차량(SDV) 양산은 2028년을 목표로 잡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