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주택 경기 악화로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또다시 증가했다. 지난달 서울 지역의 주택 인허가 물량은 2배가량 늘었지만, 수도권 전체 물량은 20%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 3722가구로 전월보다 3.7% 증가했다. ‘악성 미분양’으로 평가받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지난 2023년 말 1만 857가구에서 지난해 말 2만 1480가구로 2배가량 급증한 바 있다. 이후에도 매월 꾸준한 증가세를 나타내는 상황이다. 특히 충북은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1월 403가구에서 지난달 565가구로 40% 이상 급증했다. 다만, 전국의 미분양 주택 수는 전월보다 3.5% 줄어든 7만 61가구를 기록했다. 수도권은 1만 7600가구로 전월보다 10.9% 감소했고, 지방은 5만 2461가구로 0.8% 감소했다. 규모별로는 85㎡ 초과 미분양은 전월보다 1.8% 줄어든 1만 684가구, 85㎡ 이하는 3.8% 감소한 5만 9377가구를 나타냈다.
서울의 인허가 물량은 큰 폭으로 늘었다. 서울 주택 인허가 물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7.6% 늘어난 4844가구를 나타냈다. 하지만 수도권 인허가 물량은 7003가구에 그치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5% 줄었다. 비수도권 인허가 물량도 전년보다 60% 이상 줄어든 5500가구를 나타냈다.
서울의 착공·준공 물량도 모두 감소했다. 지난달 서울의 착공 물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4% 감소한 894가구에 그쳤다. 준공 물량 역시 전년 동기보다 34.7% 감소한 2284가구에 머물렀다. 다만, 지난달 수도권 전체 착공물량은 4449가구로 지난해보다 26.8% 늘었다.
지난달 주택 거래량은 신학기 이사 등 계절적 요인으로 인해 크게 늘었다. 지난달 주택 매매거래량은 5만 698건으로 전월보다 32.3% 늘었다. 수도권 매매거래는 전년보다 34.6% 늘어난 2만 4026건, 비수도권 매매거래는 30.3% 증가한 2만 6672건을 나타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전·월세 거래 역시 전월보다 각각 35.4%, 44.6% 증가세를 나타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