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2월 지방 주택 경기 악화로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또다시 증가했다. 서울은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여파로 주택 매매량이 30%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 3722가구로 전월보다 3.7% 증가했다. ‘악성 미분양’으로 평가받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2023년 말 1만 857가구에서 지난해 말 2만 1480가구로 2배가량 급증한 바 있다. 이후에도 매월 꾸준한 증가세를 나타내는 상황이다. 특히 충북은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1월 403가구에서 지난달 565가구로 40% 이상 급증했다.
다만 전국의 미분양 주택 수는 전월보다 3.5% 줄어든 7만 61가구를 기록했다. 수도권은 1만 7600가구로 전월보다 10.9% 감소했고 지방은 5만 2461가구로 0.8% 줄었다.
주택 공급 시장의 주요 선행지표는 하향 곡선을 나타냈다. 지난달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은 1만 2503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5.4% 감소했다. 수도권이 7003가구에 그치며 지난해보다 21.5% 줄었고 비수도권 역시 5500가구에 머물러 60.7% 감소했다. 다만 서울은 4844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7.6% 증가했다. 전국 주택 착공과 분양도 전월보다 각각 1.1%, 27.6% 감소했다.
한편 서울을 포함한 전국의 주택 거래는 큰 폭으로 증가했다. 지난달 주택 매매 거래량은 5만 698건으로 전월 대비 32.3% 증가했다. 서울이 7320건으로 37.9% 증가한 것을 비롯해 수도권(34.6%)과 지방(30.3%) 모두 증가세를 나타냈다.
전국의 주택 전월세 거래량도 전월보다 38.6% 늘어난 27만 8238건을 기록했다. 수도권(17만 6506건)과 지방(10만 1732건)이 각각 전월보다 35.4%, 44.6% 증가했다. 주택 매매와 임대차 거래가 동시에 늘어난 것은 신학기를 앞두고 이사 수요가 발생한 데다 서울시의 토허구역 해제 영향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