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코트라)가 중국의 경제와 산업, 과학기술 정책의 동향을 분석하는 웨비나를 개최한다.
코트라는 3일 ‘2025년 양회로 알아보는 중국 경제·산업, 과학기술 정책 동향’ 웨비나를 연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웨비나는 코트라 베이징무역관이 주최하는 ‘차이나 네비게이터 시리즈’의 올해 첫 번째 행사다. 중국 양회에서 발표된 주요 경제·산업 및 과학기술 정책을 분석하고 한국 기업의 대응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중국 정부는 올해 양회에서 내수 촉진과 기술 혁신을 통한 성장 전략을 핵심 과제로 내세우고 적극적 재정정책과 미래·신흥산업 육성을 통한 ‘신질생산력’ 발전을 강조했다. 이에 웨비나는 중국의 거시경제 정책 변화와 산업 및 과학기술 발전 방향을 집중 분석하고 한국 기업의 대응방안을 논의하는 데에 중점을 뒀다고 코트라는 설명했다.
웨비나의 경제정책 설명 세션에서는 중국 사회과학원 거시경제연구실의 탕둬둬 주임이 첫 번째 발표를 진행한다. 탕 주임은 올해 중국 정부의 초장기 특별국채(1.3조 위안)와 특별국채(5천억 위안)를 활용한 인프라 투자와 소비 진작 추진 계획을 소개할 예정이다. 탕 주임은 “올해 물가 목표를 2% 내외로 설정한 것은 디플레이션 우려를 완화하고 소비 심리를 안정시키기 위한 조치”라며 “한국 기업들은 중국의 내수 확대 정책과 경기부양 조치를 면밀히 살펴야 한다”고 덧붙였다. 산업연구원 북경지원의 김재덕 지원장은 중국 정부의 전략 신흥산업 육성과 산업고도화 강화 방향에 대해 설명한다. 김 지워장은 중국의 과학기술 투자 확대 흐름 속에서 한국 기업이 대중 수출을 넘어 기술 협력, 합작 연구개발(R&D), 공동 기술사업화, 고급 인재 발굴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한중간 협력 모델을 구상해야 한다고 강조할 예정이다.
황재원 코트라 중국지역본부장은 “중국의 정책 변화는 한국 기업의 대중국 전략 수립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며 “이번 웨비나가 우리 기업들이 중국 시장에서 새로운 기회를 발굴하고 전략적으로 대응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