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전단채·ABSTB) 피해자들이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과 홈플러스 경영진에 집단 소송을 예고했다. 홈플러스의 대주주인 MBK와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 신청 전 신용등급 강등을 인지하고도 ABSTB를 판매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반면 MBK와 홈플러스에서 대책을 내놓지 않자 집단 움직임에 나서겠다는 행보다.
홈플러스 전단채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는 3일 입장문을 통해 “10일까지 김병주 MBK 회장과 김광일 부회장, 그리고 홈플러스가 사태 해결에 성의 있는 대책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으면 피해자 모두 함께 11일 서울 중앙지검에 고소 고발장을 제출해 사법부의 엄중한 처벌을 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하나증권과 현대차증권, 유진주자증권, 신영증권 등 4개 증권사는 홈플러스가 신용등급 하락 가능성을 알면서도 전단채 발행을 묵인하고 기습적으로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해 상환 책임을 투자자에게 떠념겼다며 홈플러스와 경영진을 고소했다. 금융감독원 역시 MBK가 사전에 기업회생절차 신청을 준비한 가능성을 두고 홈플러스를 조사하고 있다. 홈플러스가 전단채를 상거래채권으로 분류해 원금 전액을 변제하겠다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계획은 여전히 안갯속이다. 이에 비대위에서 10일까지 홈플러스와 MBK가 구체적인 계획을 밝히지 않는다면 고소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비대위는 “해외로 도피한 ‘도망자’ 김병주 회장은 ‘언론 보도를 통해 잡음이 발생했다’며 언론에 책임을 뒤집어 씌우는 뻔뻔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MBK가 거래하는 각국의 증권감독기관과 각 언론사에 ‘MBK 요주의령’ 영문 논평과 피해자 탄원서 논문을 적극 접수해 전 세계 언론에 MBK 김병주 회장의 잘못을 고발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비대위는 “김광일 부회장 자택 앞 피켓시위도 곧 시행할 계획”이라며 “김병주 회장과 김광일 부회장, 홈플러스 경영진들은 사재출연 등 모든 방법을 강구해 홈플러스 정상화와 전단채 피해 원금반환을 즉시 이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