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로 30주년을 맞은 ‘2025 서울모빌리티쇼’가 4일 경기도 고양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막을 올렸다. 서울모빌리티쇼는 국내외 모빌리티 산업·기술을 아우르는 대표 전시회로 올해에는 자동차뿐만 아니라 다양한 미래 기술을 총집결한 행사로 꾸려졌다.
이날 개막식에는 윤호덕 대한민국 국회 모빌리티포럼 대표, 이승렬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 김동욱 현대자동차 김동욱 부사장 등 국내외 주요 기업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강남훈 서울모빌리티쇼조직위원회 위원장은 “서울모빌리티쇼는 1995년 서울모터쇼로 출범해 올해로 30주년을 맞았다”며 “과거 자동차 산업이 한국 경제 발전과 성장을 견인했다면 앞으로의 30년은 모빌리티 혁명이 중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자동차는 이제 단순한 교통수단이 아니라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 로보틱스 기술이 융합된 ‘움직이는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며 “서울모빌리티쇼는 이러한 변화의 흐름을 반영하고 선도하며 글로벌 모빌리티 산업 생태계를 이끄는 중심 플랫폼으로 자리 잡겠다”고 비전을 밝혔다.
각 완성차 브랜드들은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신차와 콘셉트카들을 대거 공개했다. 현대차 디 올 뉴 넥쏘, 더 뉴 아이오닉6, 제네시스의 엑스 크란 쿠페 콘셉트, 기아 타스만 위켄더 등 월드 프리미어 5종을 비롯해 아시아 프리미어 2종, 코리아 프리미어 14종 등 총 21종의 신차가 전시됐다.
참가 기업들은 이번 전시를 통해 미래 모빌리티 기술과 방향성을 제시한다. 특히 목적기반차(PBV), 도심항공교통(UAM), 자율주행, 로보틱스 등 새로운 개념의 이동수단을 반영한 전시도 포함해 전통적인 자동차 중심 전시회를 넘어 확장된 모빌리티 생태계를 보여준다.
2025 서울모빌리티쇼는 이달 13일까지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진행된다. 전시 기간 중 다양한 모빌리티 기술과 산업 생태계를 현장에서 직접 보고 체험할 수 있다.
제1전시장 주차장은 킨텍스 제3전시장 건립 공사로 인해 이용할 수 없다. 조직위는 인근에 임시주차장을 마련하고 새로 개통한 GTX-A 노선 등 대중교통 이용을 권장하고 있다. 주차 정보는 ‘킨텍스 주차몽땅’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