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국내 초고압 변압기 제조업체 일부에 최고 17% 수준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한다. 다만 미국에 생산시설을 보유한 HD현대일렉트릭(267260)과 효성중공업(298040)은 관세 폭탄을 피해 업계 피해가 크진 않을 전망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가 전날 국내 변압기 제조업체들에 반덤핑 관세율을 확정해 통보했다. 일진전기(103590)와 LS일렉트릭은 각 16.87%를 부과받았지만 HD현대일렉트릭과 효성중공업은 반덤핑 관세 대상에서 제외됐다.
이번 관세 부과는 2022년 8월부터 2023년 7월 사이 미국에 수출된 변압기를 대상으로 한다. 미 상무부는 매년 현지 기업들로부터 수입 제품으로 인한 피해 사실을 보고 받고 조사를 거쳐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해당 기간 변압기 미국 수출량이 가장 많았던 곳은 일진전기와 HD현대일렉트릭으로 추정된다.
미측은 현지에 생산 시설을 갖춘 국내 수출 기업에는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HD현대일렉트릭과 효성중공업은 미 앨라배마주와 테네시주에 각각 변압기 생산 공장을 두고 있다. 특히 HD현대일렉트릭은 지난해 북미 매출 중 앨라배마 공장 비중이 40%에 달한다. 하반기에는 1850억 원을 투입해 설비를 증설할 계획이다. 효성중공업 역시 지난해 미국 매출 중 절반이 테네시 공장에서 나왔다. 효성중공업 관계자는 “미국 공장 증설 등을 통해 현지 수요에 계속 대응해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은 2012년 한국산 변압기에 대해 덤핑 판정을 내린 후 수차례에 걸쳐 반덤핑 관세를 물려왔다. 현재 국내 생산 고압 변압기의 83%, 초고압 변압기의 42% 이상이 미국에 수출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관세 폭격을 가하고 있지만 미국 변압기 시장의 공급 부족 상태가 지속돼 수입 변압기에 고율 관세를 매기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공급자 우위 시장에서는 관세 부담 등이 판매 단가 조정을 통해 전가되기 쉽다. 미국 빅테크들이 인공지능(AI)용 데이터센터를 대폭 확대하면서 전력 수요는 현지에서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AI용 데이터센터는 일반 데이터센터 대비 20배 이상 용량이 큰 변압기를 필요로 한다.
글로벌 컨설팅업체인 맥킨지에 따르면 미국 내 데이터센터 수요는 지난해 25기가와트(GW) 수준에서 2030년까지 80GW 규모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